초록 열기/닫기 버튼

OTT 서비스 이용은 기존의 방송 미디어 이용 행동임과 동시에 무료 혹은 유료의 비용 지불을 발생 시키는 미디어 이용 행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점에 주목해 OTT 서비스 이용의 동기 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OTT 서비스 이용에서 느끼는 후생의 측면에서 분석했다. <연구문제1>에서는 이용자들이 느끼는 OTT 서비스 이용의 심리적 동기를 분석했으며 <연구문제2>에서는 이를 기초로 OTT 서비스 이용의 효용을 지불의사액을 통해 추정했다. 이를 기초로 <연구문제3>에서는 OTT 서비스가 국내 이용자들에게 창출하는 편익을 추론했다. 온라인 설문조사(N=500)를 실시했으며 분석결과, OTT 서비스 이용의 동기는 자율성, 의례성, 사회성 등 세 요인으로 추출됐다(<연구문제1>). <연구문제2>의 효용 분석은 조건부가치평가법을 활용했는데 분석결과, 개인의 지불의사액은 매월 16,974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연구문제3>에서는 개인의 효용을 전체 경제 수준에서 추정한 편익을 분석했으며 분석결과, OTT 서비스가 국민경제 전체에 연간 6조 1,560억 원의 편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The use of OTT (Over-The-Top) services involved media consumption behavior that generated either free or paid costs while concurrently engaging in traditional broadcasting media usag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is aspect and extract the motivational factors behind OTT service uses and analyzed the economic welfare. In Research Question 1, we analyzed the psychological motivations for OTT services uses, and in Research Question 2, we estimated the utility of OTT service based on users’ willingness to pay. Building on this, Research Question 3 inferred the benefits that OTT services created for domestic users. An online survey (N=500) was conducted, and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motivations for OTT service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s: autonomy, ritual, and sociability (Research Question 1). The utility analysis in Research Question 2 utilized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willingness-to-pay per individual was approximately 16,974 KRW. Based on this, Research Question 3 analyzed the benefits estimated at the overall economic level and found that OTT services contribute to an annual benefit of KRW 6 trillion 1,560 billion to the national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