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홍경모(洪敬謨)가 조귀명(趙龜命)의 산문을 수용하는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홍경모의 산문 두 편을 대상으로 조귀명의 글을 수용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제오헌김우옥여계온와유첩(題寤軒金友玉如啓溫臥遊帖)」에서는 주로 문장 단위의 인용이 이루어졌는데, 조귀명의 철학적 사유나 그것을 기반으로 한 의론을 홍경모가 실제 상황이나 풍경을 읊는 데에 적용하였다. 「제이씨문(祭李氏文)」은 비슷한 지위와 이력의 인물을 대상으로 하는 동일 갈래의 글을 수용하여 구성과 언어, 주제까지도 모방하였다. 이로써 홍경모가 평소 조귀명의 글을 익숙히 보았으며 또 조귀명의 철학적 사유까지도 전폭적으로 수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홍경모에게 있어 조귀명은 문명이 있는 동당 선인이면서 학문에서도 자신보다 앞서 일가를 이룬 인물이다. 따라서 홍경모가 조귀명의 산문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은 19세기 문학 흐름을 따름과 동시에 개인적 경도와 숭앙이 바탕에 자리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manner in which Hong Gyeongmo adopted Cho Gui-myeong's prose and the meaning of such a phenomenon. To achieve this, two of Hong Gyeongmo's prose works were selected to analyze how he accepted Cho Gui-myeong's writings. In “Essay 1(題寤軒金友玉如啓溫臥遊帖),” sentence-level citations were mainly used and these are Hong Gyeongmo's acceptance of Cho Gui-myeong's deep contemplation and the discussions founded on it. “Essay 2(祭李氏文)” not only accepted articles of the same branch targeting people of similar status, but also imitated the composition, language, and even the themes of Cho Gui-myeong's works. This suggests that Hong Gyeongmo was familiar with Cho Gui-myeong's writings and fully accepted even Cho Gui-myeong's deep contemplation Hong Gyeongmo was so active in acceptance of Cho Gui-myeong's writings. The factors that could be used were that they were both members of Soron, that Hong Yangho, a grandfather who had a profound influence on Hong Gyeongmo, recognized and accepted Cho Gui-myeong, and that both had an open and deep understanding of Taoism and Budd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