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ㄹ 법하다’와 ‘-ㄹ 만하다’가 실현하는 비인식양태의 의미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양태는 인식양태와 비인식양태인 근원양태로 나뉘는데, 인식양태는 명제의 사실성의 정도에 대한 화자의 판단을, 근원양태는 사태의 실현 가능 여부에 대한 화자의 판단을 나타낸다. 일부 선행연구에서는 ‘-ㄹ 법하다’와 ‘-ㄹ 만하다’가 어떤 상황이 일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판단을 나타낸다고 보았는데 이는 ‘-ㄹ 법하다’와 ‘-ㄹ 만하다’가 근원양태적 의미를 나타낸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ㄹ 법하다’와 ‘-ㄹ 만하다’의 의미는 ‘양태 의미의 작용역’, ‘가능성의 요인’, ‘잠재적 방해 요소’ 세 가지 기준에 따라 살펴보았다. ‘-ㄹ 법하다’가 나타내는 근원양태 가능성은 넓은 작용역을 취하고 가능성의 요인이 외부에 있으며 잠재적 방해 요소가 없는 [일반적 상황 가능성]에 해당한다. ‘-ㄹ 만하다’가 나타내는 근원양태 가능성은 [일반적 상황 가능성]에 더해 좁은 작용역을 취하고 가능성의 요인이 내부에 있는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 상황 가능성]을 나타내는 ‘-ㄹ 법하다’와 ‘-ㄹ 만하다’는 전자는 내면화된 지식에 근거한 판단을, 후자는 내면화되지 않은 지식에 근거한 판단을 나타낸다는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semantic characteristics of non-epistemic modality realized by ‘-l pephata’ and ‘-l manhata’. Modality can be divided into epistemic modality and root modality, which is non-epistemic modality. Epistemic modality expresses a speaker's judgment on the degree of factuality of the proposition, and root modality expresses the speaker's judgment on the likelihood of the state-of-affair. Some previous studies have seen that ‘-l pephata’ and ‘-l manhata’ express the judgment that it is possible for a situation to occur, which can be seen as pointing out that ‘-l pephata’ and ‘-l manhata’ represent the root modality. Root possibility meaning of ‘-l pephata’ and ‘-l manhata’ is analyzed by three criteria: ‘scope of the modal meaning’, ‘source of possibility’, and ‘potential barrier’. Root possibility expressed by ‘-l pephata’ corresponds to the [general situation possibility], which is wide-scope, has an external source, and has no potential barrier. In addition to the [general situation possibility], ‘-l manhata’ can express [Ability] which is narrow-scope, has an internal source. ‘-l pephata’ and ‘-l manhata’ which express [general situation possibility] differs in that ‘-l pephata’ expresses a judgement based on assimilated knowledge, whereas ‘-l manhata’ expresses a judgement based on unassimilated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