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대전환이 본격화되면서 이와 관련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조력자가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 대전환으로 변한 일상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있다. 또한 이 둘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있다. 이런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조력자는 디지털 대전환으로 인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연령의 조절변수 효과는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대전환으로 인한 만족도에서만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젊은 층에서 고령층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디지털 대전환으로 인한 만족도를 높여주기 위해서는 디지털 조력자의 역할보다 개개인의 디지털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igital competences and digital supporters on life satisfaction resulting from digital transformation. Using data from a survey of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in 2022,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This study found that digital competences and digital supports have a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resulting from digital transformation. This paper also tests moderating effects of aging between digital competences and digital supporters on life satisfaction. The effect of age as a moderating variable was found to play a positive role only in digital capabilities and satisfaction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This suggests a policy implication that, as age increases from the young to the elderly, improving individual digital competences is more important than the role of digital supporters in order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the digital trans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