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유형이 자녀교육 지원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활동이 양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학부모용 9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Hayes(2013)가 제안한 PROCESS macro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동화수준, 통합수준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고 주변화수준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화수준, 통합수준, 주변화수준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 교육지원활동을 통해 양육효능감에 유의미한 간접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이는 교육지원활동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양육효능감을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효능감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연구의 함의 및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accultur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ffects child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and how these activities affect parenting efficacy. To achieve this, the ninth wave of data from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was utilized, and the PROCESS macro program developed by Hayes (2013) was employ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levels of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parenting efficacy, while higher levels of marginalization were linked to lower parenting efficacy. Furthermore, the study foun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f assimilation, integration, and marginalization levels on parenting efficacy through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s education, thus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I discuss strategies to improve parenting efficac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