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 스트레스 모형, 자기효능감 이론 및 일반긴장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문화학생의 심리사회적 적응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예측 변인으로는 부모효능감과 부모지지, 그리고 부모의 자아존중감에 주목했다. 주요 변수 사이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MAPS)’ 2차년도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인 다문화 학생과 그들의 외국계 어머니의 응답 1,532건을 분석했고, 그 결과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아동이 지각한 부모지지에 완전 매개되어 다문화 학생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줌을 확인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3.0%였다. 다문화 학생의 심리사회적 적응은 어머니의 모어와 한국어가 모두 대화에 활용될 때 높음을 확인하여 부모 역량 강화 교육이나 모자관계 개선 프로그램 등에 활용할 근거를 제시했다. 궁극적으로 다문화 가족은 어머니의 언어문화 정체성을 바탕으로 자녀의 발달욕구에 부합하는 의사소통 및 긍정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다각적 교육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for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e utilized a sample of 1,532 responses from the second year of the second phas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efficacy, parental self-esteem, parental support, and adolescents’ psycho-social adjustment. The impact of parental efficacy and parental self-esteem on a child’s psycho-social adjustment was observed to be fully mediated by parental support, explaining 53.0% of the variance. Psycho-social adjustment was higher when foreign mothers utilized both their native language and Korean in conversations with their children. In conclusion, comprehensive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should be guaranteed to foster communication and positive interaction skills that align with a child’s developmental needs, grounded in the linguistic and cultural identity of the m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