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 여성의 일-가정 양립과 생활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20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제8차 여성가족패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프로세서 매크로를 통해 측정 모형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정 양립, 부부 친밀감, 생활 스트레스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중요 변수로 분석하였다. 이는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정을 통해 높은 고유값, 분산 설명력, 신뢰성을 보였다. 둘째, 기술통계는 일-가정 갈등과 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며, 다변량 정규 분포의 가정이 충족된 것으로확인되었다. 셋째, 일-가정 촉진은 생활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 부부 친밀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일-가정 갈등은 생활 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일-가정촉진은 부부 친밀감을 높이고, 생활 스트레스를 줄이며, 일-가정 갈등은 생활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킨다. 이 연구는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고 양육 환경을 개선하는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life stress among working women raising children. Data from the 8th Women and Families Panel conducted by the Korea Women’s Policy Research Institute in 2020 were used. The SPSS 22.0 was used to analys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measurement model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work-family balance, marital intimacy, and life stress were analysed as important variables. Th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showed high eigenvalues, explained variance, and reliability. Seco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tress was high, and the assumption of multivariate normal distribution was met. Third, work-family facilit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life stress and positively related to couple intimacy. On the other hand, work-family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life stress. Finally, work-family facilitation increased couple intimacy and reduced life stress, while work-family conflict directly increased life stress.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directions for improving parenting environments and supporting children’s healthy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