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공공기관에서 도입하고 있는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적 제도의 활용과 공직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성과와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적 제도 활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공직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친화적 제도 활용 만족도와 공직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성과와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친화적 제도 활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아지고, 직무성과가 높을수록 공직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친화적 제도 활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낮아지고,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공직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공무원의 직무성과를 높이고, 직무 스트레스를 낮춤으로써 공직만족도를 높여 공직 수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조직의 차원에서 가족친화적 제도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 of job performance and stress levels on relationships between family-friendly policies and job satisfaction in public organizations. We used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satisfaction with using family-friendly policies and job satisfaction. Second, we foun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job performance, stress on using family-friendly policies, and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positive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mily-friendly policies and job performance,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using family-friendly policies led to lower levels of job stress, resulting in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expanding family-friendly policies is necessary for public officials as organizational efforts to achieve high levels of job performance and reduce their job-related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