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 탐색할 독일의 영화작가 카티야 프라취케의 영화 <낯선 몸>(2002)은 토마스 만의 소설 『뒤바뀐 머리들』(1940)을 패러디한 작품이다. 프라취케의 패러디 영화의 미학적 특징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프라취케의 패러디 영화의 구조적 특징은 크게 내용적 측면과 형식적 측면으로 나누어진다. 내용적 측면에서 그녀의 영화는 토마스 만의 소설 속 이야기 구조와 등장인물들의 관계를 현대적인 관점에서 패러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원작 소설과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도출하고 있다. 또 형식적 측면에서 프라취케의 패러디 영화는 실험 영화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원작 소설과는 다른 새로움을 제시해 준다. 둘째, 프라취케의 영화의 목적은 토마스 만의 소설에 대한 패러디를 통해 영화작가가 몸담고 있는 독일 현실을 풍자적으로 비판하는 데에 있다. 이 경우 패러디의 대상은 토마스 만의 원텍스트이고, 패러디의 목표는 당대 현실이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토마스 만의 원작 소설은 독일 현실을 풍자적으로 비판하기 위한 패러디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er Schwerpunkt der vorliegenden Arbeit liegt darin, den Film Fremdkörper (2002) der deutschen Filmemacherin Katja Pratschke und Thomas Manns Roman Die vertauschten Köpfe (1940) miteinander zu vergleichen. Pratschkes Film Fremdkörper, der in dieser Arbeit untersucht wird, ist eine Parodie auf Thomas Manns Roman Die vertauschten Köpfe. Die ästhetischen Eigenschaften von Pratschkes Parodiefilm sind dabei aus zwei Perspektiven zu betrachten: 1. Die strukturellen Merkmale des Parodiefilms sind in inhaltliche und formale Aspekte unterteilt. Inhaltlich parodiert Pratschkes Film Thomas Manns Erzählstrukturen aus zeitgenössischer Perspektive und produziert dadurch andere Bedeutungen als der Roman. In formaler Hinsicht bietet ihr Film experimentelle filmische Techniken, die sich vom Roman unterscheiden. 2. Das Ziel Pratschkes Films besteht darin, durch die Parodiesierung auf Thomas Manns Roman die deutsche Realität satirisch zu kritisieren. Dabei ist das Objekt der Parodie der Roman von Thomas Mann, und das Ziel der Parodie ist die deutsche Realität. Daraus ist ersichtlich, dass Thomas Manns Roman als Mittel der Parodie dient, um die deutsche Realität satirisch zu kritisie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