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불놓는 시기에 따른 화전 분류 방식과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강원도 농민들은 화전을 경작 연수에 따라 화전과 산전으로 분류했다. 처음 일군 첫 화전은 ‘부덱이’ 또는 ‘화전’ , 이듬해부터는 그 밭을 ‘산전’으로 불렀다. 부덱이-화전- 휴경 또는 산전의 분류는 화전-휴경을 반복하는 화전의 일반적 순환체계에 바탕에 둔 것으로 경작 연수에 따른 경작지 상태와 경작방식의 변화 등을 드러내는 데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이 분류는 ‘첫 화전’, 이른바 부덱이의 내적 차이를 드러내는 데에는 부족함이 있다. 화전은 나무를 베는 시기에 따라 크게 봄비와 7월비로 분류할 수 있는데, 봄비와 7월비 모두는 봄철에 파종하는, 이른바 봄 화전이었다. 봄 화전은 가을에 준비하여 이듬해 봄에 ‘조이’[조] 농사를 짓는 화전이다. 메밀 화전은 양력 7월경에 나무를 베지만, 겨울을 나지 않고 10-15일 정도 지나 불을 놓고 곧바로 메밀을 파종하였다. 화전은 작물을 파종하는 시기에 따라 크게 봄 화전과 여름[메밀] 화전으로 구별되었고, 봄 화전은 다시 나무를 베는 시기에 따라 ‘봄비’와 ‘7월비’로 나뉘었다. 7월비의 봄 화전은 일반적으로 김매기, 수확 등의 농사철과 맞물려 있어서 전업 화전민를 중심으로 이뤄진 가장 전통적인 화전농법이라고 한다면, 짧은 기간에 베고 준비하는 봄비는 주로 겸업 화전민을 중심으로 행해졌다. 그리고 메밀을 심었던 여름 화전은 새로 화전을 일구기도 했지만, 대체로 지력을 다한 휴경하기 전의 화전이나 휴경을 위해 묵혀두었던 이른바 ‘묵밭’을 이용하였다. ‘묵밭’은 큰 나무가 많지 않아서 크게 힘들이지 않고 일굴 수 있으므로 노동력이 부족한 농민들이 경작하기 좋았다. 나무를 베는 시기와 파종하는 시기에 따른 화전의 구분은 경작 연수에 따른 구분보다 화전의 성격을 잘 보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Hwajeon(slash-and-burn)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ime of burning. Hwajeon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spring-slash(‘봄비’) and July-slash(‘7월비’), depending on the time of year when trees are cut. Both spring-slash and July-slash were so-called spring Hwajeon, with sowing occurring in the spring. Spring Hwajeon is a slash-and-burn field prepared in the fall and used for ‘joi’ [millet] farming in the spring of the following year. In buckwheat Hwajeon, trees are cut down around July of the solar calendar, but buckwheat is sown immediately after 10 to 15 days without winter. Hwajeon farming was largely divided into spring Hwajeon and summer [buckwheat] Hwajeon according to the time of sowing crops. Spring Hwajeon was further divided into ‘spring rain’ and ‘July rain’ depending on the time of cutting trees. If we say that the spring Hwajeon farming method of the July-slash is generally linked to the farming season such as weeding and harvesting, and is the most traditional Hwajeon farming method practiced mainly by full-time Hwajeon farmers, then the spring rain of cutting and preparing in a short period of time can be said to have been mainly practiced by the dual-skilled farmers. Also, in the summer Hwajeon fields where buckwheat was planted, new Hwajeon fields were also cultivated, but in general, Hwajeon fields before fallowing when all the land was exhausted or so-called ‘mookbat(old field)(’묵밭‘)’ that had been left fallow for fallow fields were used. The ‘mookbat’ was good for farmers who lacked labor because it could be cultivated without much effort as there were not many large trees. The division of Hwajeon according to the time of cutting trees and planting season shows the nature of Hwajeon farming better than the number of years of cul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