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해방 후부터 한국의 양계산업과 닭고기 조리법은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미국의 프라이드치킨은 흑인생활사를 기반으로 상품화되었고, 주물 프라이팬의 보급, 콩으로 만든 식용유의 대량생산, 1960년대부터 체계적으로 발달한 육계산업 등에 따라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한국에서는 1970년대에 공장제 식용유가 생산되어 보급 판매되면서 기름에 튀긴 통닭이 등장하였고, 1970년대 후반 안동에서는 마늘통닭(마늘닭)이 개발되어 인기를 얻었다. 1980년대에는 미국식 프라이드치킨이 한국 전역에서 인기를 얻게 되었다. 물론 프라이드치킨의 한국 현지화로 양념통닭(양념치킨), 파닭, 간장치킨이 개발되었다. 주목되는 점은 튀김 조리법 계열의 음식과 다르게 찜 조리법 계열의 닭요리가 안동에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는 사실이다. 찜닭은 1980년대 중반에 안동의 시장통 통닭집에서 닭고기찌개, 닭고기볶음, 소갈비찜 방식의 닭고기요리에서 출발하여 1980년대 후반에 지금의 찜닭처럼 정형화되었다. 안동찜닭은 프라이드치킨의 한국 현지화와 더불어 안동 현지화의 대안음식으로 탄생한 것이다. 안동찜닭은 미국식 프라이드치킨의 세계화에 대한 안동식 대응이었다. 안동찜닭은 미국식으로 기름에 튀기는 닭요리가 주도하는 상황에서 기름에 튀긴 닭고기의 느끼한 맛에 대한 대안으로 개발된 것이다. 즉, 찜닭은 기름에 튀기지 않고 찌는 방식으로 닭요리를 만든 점에서 프라이드치킨의 대안음식이다. 따라서 안동찜닭의 발명과 확산에 대해서는 다시 주목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미국식 프라이드치킨의 세계화에 대응하여 한국음식 조리법의 한 갈래이자 안동지역 조리법으로도 상당한 전승력을 가진 ‘찜’ 조리법의 전통에 기반하여 1980년대 안동에서 발명되어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동찜닭은 안동지역 찜 조리법 전통의 재창조에 해당한다. 세계화가 진행될수록 전 세계가 획일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지만, 프라이드치킨과 안동찜닭의 관계적 사례는 세계적인 것(the global)이 그 나라의 사회ㆍ경제ㆍ문화체계와 같은 지방적인 것(the local)과 상호작용하는 변증법을 말해준다.


Since the emancipation in 1945, Korea’s poultry industry and chicken recipe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US greatly. American fried chicken became commercialized grounded on black life, and it grew into an industry with the spread of cast frying pans, mass production of soybean cooking oil, and the broiler industry developed systematically from the 1960s. In Korea, as factory-made cooking oil was produced and distributed in the 1970s, fried whole chicken emerged, and garlic whole chicken (garlic chicken) was developed and became popular in Andong in the late 1970s. In the 1980s, American-style fried chicken became popular throughout Korea. Of course, with the fried chicken’s localization in Korea, seasoned whole chicken (seasoned chicken), green onion chicken, and soy sauce chicken came to be developed. Differently from that fried food type, the dishes of steamed chicken began to be developed in Andong. Steamed chicken started as chicken stew, stir-fried chicken, or chicken dishes like streamed beef ribs at the chicken stores in the markets of Andong during the mid-1980s and became standardized as Jjimdak (steamed chicken) today in the late 1980s. Andong Jjimdak was created as an alternative food through fried chicken’s localization in Korea and also in Andong. Andong Jjimdak was an Andong-style response to the globalization of American-style fried chicken. Andong Jjimdak was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o fried chicken with greasy taste in the situation led by an American-style fried chicken dishes. In other words, Jjimdak is an alternative food to fried chicken in that it is made in a steamy way, not frying in oil.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paid again to the invention and spread of Andong Jjimdak. It is because it was invented and spread in Andong during the 1980s in response to the globalization of American fried chicken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steaming” recipe that is a branch of Korean food recipes and Andong’s recipes equipped with tremendous market power. Therefore, Andong Jjimdak corresponds to the reinvention of Andong’s steaming recipe tradition.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fact that the world will become uniformed as globalization progresses, but the relational example of fried chicken and Andong Jjimdak tells us the dialectic that the global interacts with the local including the country’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