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인적자원관리 맥락에서 장애인 고용의 문제를 수요 중심의 관점에서 보기 위해, 계획적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바탕으로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태도 요인들이 추가고용의도와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규범과 지각된 통제의 단계적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장애인 개발원이 수집한 2022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비장애인 근로자들이 장애인 근로자에 대해 갖는 태도(관계 우려)가 추가고용의도를 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범요인인 사회적 책임 지각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추가고용의도가 실제 고용행동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통제력 지각은 유의하였다.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장애인 고용이 두 단계에 걸친 의사결정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또한, 법정 고용률을 달성한 기업의 경우, 장애인 근로자들과 비장애인 근로자들 사이의 관계 증진과 더불어 기업의 통제력과 관련된 요인의 개선에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n employer’s proactive efforts toward employment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by drawing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from the supplier-demand perspective of employment. Method: The authors conducted factor analysis, hierarchical,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data from the Survey on the Disabilities collected by the Institute for the Disabled in 2022. Results: The most critical factor affecting an employer’s intention of additional employment toward the people with disability was such an attitudinal factor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workers, not as concerns about competency of the disabled workers or hiring cost. Unexpectedly, a normative factor such as an employer’s percep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was not critical. Implications: The employment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needs to be considered from the two directions: government should provide the companies with the statutory rate of employment with benefits; on the other hand, companies should attempt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workers at work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