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류학자 조문영이 엮은 《동자동, 당신이 살 권리: 쪽방촌 주거개발과 주거의 미래》(2023)는 서울 용산구 동자동 소재 쪽방촌의 상황을 핵심 사례로, 정부 주도재개발 정책이 가져온 영향과 쟁점을 동태적으로 진단한 텍스트이다. 이 책은장기간에 걸쳐 개설되어 온 ‘빈곤의 인류학’ 수업을 통해 그와 학부생들이 긴밀하게 공조하고, 현장 연구와 정책분석을 복합적으로 조합해 낸 독특한 작업이기도 하다. 이 같은 많은 노고가 담긴 창의적인 협업을 구현하면서, 저자들은 동자동이 서울 최대의 쪽방촌이자, ‘빈곤과 주거 및 개발’의 실천과 관련 담론이 역사적으로 응축된 ‘핵심 현장’이란 측면에 주목한다. 이들은 특히 도심 개발의 명암과 주거의 ‘공공성’을 주목할 화두로 삼으면서, 동자동 쪽방촌의 공적 개발을 둘러싼 정책적·제도적 이슈와 갈등의 이면, 그리고 우리 사회에서 부동산으로 쏠리는 집합적 욕망과 관련 사회적 쟁점을 세밀하게 조명해 낸다. 저자들은 쪽방촌으로 밀려나는 빈민과 사회적 주변인들에게 가해지는 ‘느린 폭력’의 실상에서, 공공과 사유의 치열한 공방과 대립, 주거권의 문제를 고심하는 대안적 접근의필요성, 그리고 사회 운동론의 함의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밀도 있고 ‘개입적인’ 탐구를 제시한 바 있다. 이 글은 이 여러모로 주목할 저작의 특징과 함의를 진중하게 풀어내는 확장된 ‘리뷰(re-view)’ 작업이다. 우리는 《동자동, 당신이 살 권리》 외에 이문영의 《노랑의 미로: 가난의 경로 5년의 이야기》 등 주제 측면에서관계성이 큰 다른 저작과 자료를 교차해 가면서, 성찰할 논점과 비평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진은 특히 쪽방촌이 상징하는 성장과 개발의 이면에서 빈곤의재생산과 결부된 일련의 복합적인 공적 함의를 조직적으로 풀어낸 이 책에 관한조밀한 진단과 생산적인 비평 및 다원적인 평가를 모색할 것이다. 그런 방식으로, 이 작업은 문화연구자들이 지향할 만한 지식의 모색과 교육적 함의를 인접분야에서 구현된 매우 유의미한 텍스트를 매개체로 삼아 동료 연구자들과 공유한다


This is a lengthy and much detailed review that extensively engages with the book <Dongjadong, Your Right to Live> co-written by Porfessor Munyoung Cho and her students. This book is both distinctive and highly recommendable in several ways: first, it deals with the reproduction of poverty in the case of Seoul’s urban poor as a central theme while adopting detailed discourse analysi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ethnography for comprehensive research. Second, this work came out of a quite meaningful collaboration between an anthropology professor and her 2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nthropology of poverty’ class. Such a dedicated and compassionate project, among other things, embodies a creative pedagogical experiment that is not commonly pursued in academia. Third, this is a substantive ‘action research’ whose goal is putting the participatory impulse into the socially-sensitive theme as well as research process. As a whole, this is a quite solid book with high achievements and a number of intellectual reverberations. That is the reason we have decided to review this work thoroughly for the 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