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평화주의운동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고조되고 영일동맹에 대한 재평가가 있었던 1922년에 집필된 노엘 벅스톤(Noel Buxton)과 토마스 필립 콘웰-에반스(Thomas Philip Conwell-Evans)의 공저 『Oppressed Peoples and the League of Nations』에서 노엘 벅스톤이 한국의 상황을 검토한 내용을 살펴보고 그의 활동에 대한 각계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엘 벅스톤은 한국인의 주권을 인정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완전한 독립보다는 일본제국 내에서의 자치를 해법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그가 한국의 완전한 독립은 정치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장은 영국의 아일랜드 통치에 대한 그의 평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식민통치방식을 비판하고 한국의 독립문제를 거론한 노엘 벅스톤의 활동에 대해 영국성공회 한국선교부(트롤로프 주교와 『Morning Calm』 편집인)과 일본정부의 대변인이라 할 수 있는 토마스 바티(Thomas Baty)가 각각 상반된 논평을 냈는데, 이를 통해 각자의 이해관계 속에서 한국의 독립문제를 바라보는 것이 상이했음을 확인하였다. 노엘 벅스톤이 일본의 한국통치방식의 불의(不義)와 잔인성에 대해 비판을 가한 만큼, 그는 영국의 역사적 책임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그는 1902년의 영일동맹이 한국을 식민지로 전락하게 한 초석으로 작용하였다는 점에서 영국 또한 한국에게 책임이 있다는 영국책임론을 주장하였다. 1920년대 초부터 노엘 벅스턴의 주장에 호응하였던 영국 정치인 닐 맥클레인(Neil Maclean)은 한국의 독립문제에 대한 영국책임론을 영국의회에서 제기하였다. 그는 1943년 카이로회담 이후에도 의회 내에서 영일동맹과 연계하여 한국의 독립문제를 제기한 유일한 인물이었다. 이들의 주장은 영국 정치계에서 주류가 되지 못하였지만, 이를 통해 영일동맹은 단순히 영국과 일본 각각의 이해관계의 합치 결과로 이어진 조약이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일제의 한국 식민통치의 부당성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로도 활용될 수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explores the British politician Noel Buxton(1869-1948)’s examination of the situation of Korea in his co-authored book with T. P. Conwell-Evans(1896-1968) Oppressed Peoples and the League of Nations published in 1922, at a time of heightened global interest in the International Peace Movement and re-assessment of the Anglo-Japanese Alliance following World War I. As a former Liberal who joined the Labour Party, Noel Buxton was a widely respected political figure and his response to the question of Korean Independence is unusual its depth of its analysis. Whilst Buxton recognised the sovereignty of the Korean people, he ultimately advocated ‘Home rule’ within the Japanese empire rather than full independence, since he regarded this as the limit of what could be achieved politically. In many ways, his views of Korea were profoundly shaped by his assessment of British rule over Ireland. Further light on both the idealism and sophistication of Buxton’s perceptions is shed by a consideration of two other contrasting English responses to Japanese colonial rule: those of Mark Trollope(1862-1930) as Bishop of the Church of England Mission in Korea and Thomas Baty(1869-1954) as a commentator on international law and Japan’s Foreign Legal Advisor. If Buxton was unequivocal in his assessment of the injustice and brutality of Japanese rule over Korea, he was equally critical of British historical culpability, seeing the Anglo-Japanese Alliance of 1902 as indicative of the iniquity of the alliance and a key factor in giving the Japanese a free hand. This view, namely ‘Britain’s responsibility’ for Korea was echoed by the British politician Neil Maclean(1875-1953), who from the early 1920s supported Noel Buxton’s position and again raised Korean Independence issue in the House of Commons after the Cairo Conference declared Allied support for liberating the Korean people. It is true that the voices of the likes of Buxton and Maclean on Korea were not part of the mainstream of British political debate. In spite of that, this suggests that the Anglo-Japanese Alliance is not merely a result of the interests of Britain and Japan but also serves as a basis to demonstrate the injustice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