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마을활동가의 개념과 역할, 농촌지역의 마을만들기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경기도 농촌지역 마을활동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마을활동가의 역할수행 맥락과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농촌 마을활동가는 역할진입, 역할요구, 역할혼란, 역할대응 단계를 통해 역할유지가 이루어졌다. 더불어 각 단계마다 역할수행의 촉진 요인과 장애요인이 혼재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는데, 장애요인 극복을 위해 마을활동가는 자율성과 자발성 기제로 인한 스스로 역할을 재구성하는 역할전달자로서의 모습도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마을활동가는 충분하지 못한 보상과 인정, 자발성이라는 압력에 따른 역할 과중과 혼란을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 마을활동가의 역할 유지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과 주요 이해당사자들의 인식 전환, 소통을 통한 역할 조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found that rural village activists maintain their roles over time through the stages of role entry, role demand, role confusion, and role respons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ixture of facilitating and hindering factors for role performance in each stage, and to overcome the hindering factors, village activists were shown to be role transmitters who reconfigured their roles through autonomy and voluntarism.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confirm that village activists are experiencing role overload and confusion due to insufficient compensation, recognition, and pressure for voluntarism. To resolve this, we suggested that institutional support, awareness change among key stakeholders, and role adjustment through communication are needed to maintain the role of village activ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