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상교의 작품 세계는 긍정적 세계관을 지향하고 있으나 그 속을 살펴보면 암울함 속에서도 자신의 방식으로 현실을 이겨내려는 상상계적 주체와 상징계적 주체가 드러난다. 이상교의 동시에서 상상계와 상징계적 주체로 등장하는 것은 ‘물’과 ‘새’에 해당한다. 이 두 대상은 라캉이 주장한 ‘소외’라는 개념의 주체에 해당하는데 ‘물’과 ‘새’를 통해 구체적인 주체를 드러냄과 동시에 자아와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특징적 차이가 있다. 상상계적 주체에 해당하는 ‘물’과 상징계적 주체에 해당하는 ‘새’의 등장이 현실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과정은 다르게 나타난다. 상상계적 주체는 물과 자아를 동일시하여 상상의 확장이 현실을 넘나들며 타자를 위로하면서 자아를 소외하는 반면, 상징계적 주체는 새와 자아를 동일시하여 대상을 묘사하되 현실의 질서를 지키면서 사회문화적 규범을 벗어나지 않으려는 태도를 전제한다. 동식물과 사물을 등장시킨 그의 작품집을 분석해 본 결과, 자연적 상태로서의 ‘물’과 ‘새’가 소외된 주체의 소리를 드러냄과 동시에 긍정적 세계관을 보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ee Sang-kyo's world of work aims for a positive worldview, but looking at it reveals the imaginary and symbolic subjects who try to overcome reality in their own way in the dark. It is 'water' and 'bird' that appear as imaginary and symbolic subjects in the children’s poems of Lee Sang-gyo. These two objects correspond to the subject of the concept of "isolation" claimed by Lacan, and there is a characteristic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revealing a specific subject through "water" and "bird" and connecting it to the self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expressing reality appears differently in the appearance of "water" corresponding to the imaginary subject and "bird" corresponding to the symbolic subject. The imaginary subject identifies water and the id, so that the expansion of imagination crosses reality and comforts the other, while the symbolic subject identifies the bird and the id to portray the object but not deviate from socio-cultural norms while maintaining the order of re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his collection of works that featured animals, plants and objects, it was found that "water" and "bird" as natural states play a role in revealing the sound of the alienated subject and showing a positive world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