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연산군 6년 가야산의 봉서사에서 개판되어 해인사에 현존하는 『현수제승법수』 목판의 외형적인 서지정보와 간행정보 등을 정리한 다음, 해당 목판에 담긴 역사·문화적인 성격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동일한 구성체계·간행정보 등이 있는 3종류 인출본을 다양한 기준·비교지표로 분석하여 현존 목판과 동일한 판본 1종류를 확정하였으며, 다양한 원천자료를 교차적으로 활용하여 연구의 객관성·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산군 6년 가야산의 봉서사에서 개판된 『현수제승법수』의 외형정보·등곡발문·간행정보 등에는 16세기 초기 합천지역사회와 함께 가야산 봉서사의 역사·문화적인 실체를 추적할 수 있는 원천정보가 함축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는 역사서·지리지·개인 문집 등에서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으므로, 16세기 초기 가야산 봉서사와 합천지역의 불교·사회사를 해명할 수 있는 중요한 보완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연산군 6년 봉서사에서 개판된 『현수제승법수』 조성불사의 대시주는 승려와 세속의 단월로 구성된 敎俗 이원적인 협조체계로 운영되었으며, 실무조직은 승려 출신만으로 구성·운영되었다. 대시주에는 고위 승려 및 무신관료 등 다양한 출신성분도 포함되어 있었다. 연산군 6년 가야산 봉서사에서 개판된 『현수제승법수』의 조성불사에 참여한 승려와 세속의 단월 가운데는 같은 해 및 이듬해 봉서사에서 조성된 『목우자수심결(언해)』·『선종유심결』·『고봉화상선요』의 판각불사에도 중복 참여하였다. 이들 가운데 燈谷 學祖와 공양주·간선·각수를 분담한 了黙·冋敏(冏敏)·冋湛·胤禎 등이 주목된다. 이들의 중복 참여는 4종류의 봉서사판이 체계적으로 기획·조성되었다고 반증하는 것이다. 연산군 6년 가야산 봉서사에서 『현수제승법수』를 개판할 때에는 봉서사가 유점사·해인사와 긴밀한 연계망을 맺고 있었다. 이러한 사례는 연산군 9년 해인사에서 조성된 『예념미타도량참법』 10권의 판각불사에서도 확인된다. 연산군 6년 가야산 봉서사에서 개판된 『현수제승법수』의 조성불사에는 봉서사가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동시에, 왕실의 권위를 수용하는 의식이 담겨 있었으며, 명나라 중심의 대외인식도 함축되어 있었다. 한편 연산군 6년 가야산의 봉서사에서 개간되었다는 간행정보가 있는 3종류의 『현수제승법수』 인출본 가운데 ①유형의 판본이 다양한 기준·비교지표에서 해인사에 현존하는 목판과 서로 일치하고 있다. ②·③유형은 ①유형보다 후대 조성된 판본이며, ③유형은 ②유형의 판본을 저본으로 조성되었다. 이 가운데 해인사 현존 목판의 저본은 명나라에서 조성·유통된 등곡 학조의 소장 판본으로 확인되며, 현존 해인사 목판은 중암판(명종 21년)·용천사판(선조 5년)·개흥사판(인조 25년)·간월사판(현종 14년) 등의 핵심적인 저본으로도 활용되었다.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Hyunsujeseungbeopsu's woodblock that the Bongseo-Temple was created in the King-Yeonsangun's 6th year of the Joseon-Dynasty. the Buddhist woodblock have engravated at the Bongseo-Temple of the Gaya-Mountain(伽耶山), is now preserved in the Haein-Temple(海印寺). in this process, the source information of the edition has been newly organized the surface configuration form & bibliographic information the imprint(刊記) that the woodblock have been existing. First, the source information can supplement the historical & cultural reality of the Hapcheon(陜川)'s community & the Bongseo-Temple during the reign of the the King-Yeonsangun. in addition, the source information can be used as key data that the Bongseo-Temple was created the Buddhist Heritage in Hapcheon's community. Second, the organization system of this Buddhist project have been operated as the cooperation of a Buddhist-monk and a officialdom(敎俗). the organization system have been included as a Buddhist-monks & secular people of the various classes. however, the working organization have only consisted by monks. the Deunggok-Hakjo(燈谷 學祖) of the Haein-Temple’s high monk has provided the source edition, the Gyeongmin(冋敏․冏敏) has oversawed the the whole of the working system. Third, the Bongseo-Temple has also planned and engraved three kinds of the Buddhist woodblocks. the Buddhist woodblocks were the Mogujasusimgyeol-eonhae(牧牛子修心訣―언해) & the Seunjongyusimgyul(禅宗唯心訣) & the Gobonghuasangsunyu(髙峰和尙禅要). the Bongseo-Temple’s Buddhist woodblocks was related to the Yenyommitatoryangchambop(禮念彌陁道塲懴法) of the Haein-Temple. In addition, the Bongseo-Temple had a network with the Haein-Temple & the Yujeom-Temple(楡岾寺) at the time. Finally, the existing Hyunsujeseungbeopsu woodblocks of the Haein-Temple are one of the three types-edition that it has been confirmed so far, were the oldest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