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글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한 문화영화 중 민속을 소재로 한 문화영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영화의 역사 특히 문화영화 제작에 영향을 주는 문화정책의 특징과 연관하여 설명하였다. 문화영화는 독일에서 정책 홍보 및 선전용으로 제작된 이후 전 세계 여러 국가의 다양한 정책에 활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제강점기 이후 지속적으로 문화영화가 제작되었다. 특히 1960년대 군사정변 집단이 조직한 국립영화제작소에서 국가 정책에 복무하는 문화영화를 활발하게 제작하여 상영하였다. 이 중에는 민속과 관련된 문화영화도 많이 제작되었다. 당시 민속과 관련된 문화영화를 본 연구에서는 대국민 선전용, 무형문화재 기록용, 해외홍보용으로 구분하여 제작 배경과 목적을 설명하였다. 먼저 대국민홍보용으로 활용된 민속으로는 향토문화제를 제시하였다. 문화영화 속의 향토문화제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축제라기보다는 중앙 정부의 지방문화 정책에 복무하는 축제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박정희를 등장시켜 그를 영웅화하는 대국민 선전 정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점은 이순신과 관련된 다양한 지역 축제 현장에 박정희가 등장하는 문화영화에 잘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무형문화재의 기록화 사업과 연관된 문화영화를 분석하였다. 1960년대부터 민속 중에 정부의 문화 정책에 복무할 수 있는 민속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이를 전승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진행하였다. 이 중에서 지정 무형문화재의 전승, 연구 혹은 교육을 위하여 관련 무형문화재를 영상으로 기록하여 보존토록 하였고, 이에 관한 초창기 작업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창기 국립영화제작소의 무형문화재 영상 기록화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기록화 사업이 진행되면서 전문연구자인 민속학자들의 역할이 증대되는 모습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외 홍보용으로 제작된 문화영화 중에 민속을 소재로 한 문화영화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6ㆍ25전쟁 이후 전후 혼란, 분단 등의 국가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국립영화제작소에서는 전통 악기, 전통춤 등 국가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소재로 한 문화영화를 제작하여 해외에서 상영하였다. 또한 당시 영화 정책 담당자들은 국가의 홍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문화를 소재로 한 영화를 제작하여 해외영화제 출품할 것을 장려하였다. 당시 해외영화제의 수상작에는 무형문화재를 소재로 한 문화영화도 포함되었지만, 농어촌의 일상문화를 담았던 문화영화도 포함되었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민속학의 중요 연구 대상이면서 대국민홍보용의 대표적인 소재로 간주할 수 있는 관혼상제 특히 상례를 소재로 한 문화영화를 분석하지 않았다. 제한된 지면으로 논의를 전개할 수밖에 없는 논문의 형식으로는 향토문화제, 민속예술 그리고 관혼상제를 모두 논의하기는 힘들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This research discusses the analysis of cultural films, focusing on those with a theme of folk culture, particularly among films produced by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olicies that have influenced the history of cultural films, especially on their production. Cultural films were initially produced in Germany for policy promotion and propaganda, and have been subsequently utilized for promoting various policies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South Korea, the production of cultural films has been continuous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otably, in the 1960s,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formed by a group associated with a military coup, actively produced and screened cultural films aligned with national policies. Many of these films were related to folk culture. This research categorizes folk-related cultural films into those produced for nationalwide propagand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cumentation, and international promotion. In terms of nationwide promotion, these films showcased local cultural festivals, highlighting their alignment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regional cultural policies and promoting figures like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as national heroes, rather than showing a region’s history and culture. This aspect is effectively portrayed in cultural films depicting various regional festivals related to Admiral Yi Sun-sin, with the inclusion of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in these films. This research also analyzes cultural films related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cumentation project. From the 1960s onwards, certain folk elements have been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line with government cultural policies, and various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to pass them down. Efforts have been made to document and preserve these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rough video recording, primarily conducted by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early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video documentation and the growing role of folklorists and researchers in this process. Finally, this study scrutinizes cultural films with folk culture as their subject, which have been created for international promotion.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has produced cultural films featuring traditional instruments, traditional dances, and other elements to enhance the country’s image, and aiming to present a positive national image when screened abroad. Moreover, film policymakers have encouraged the production of films based on Korean culture for submission 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s part of national promotion efforts. Notably, award-winning films a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ncluded those based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films depicting rural daily life. However, the research does not examine cultural films centered on “Gwanhonsangje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especially on “Sangrye (funeral)” rituals, which are considered significant research targets in folklore studies and representative themes for nationwide promotion. Due to space constraints and the consequent development of discussion with limits, it was assumed to be infeasible to discuss local cultural festivals, folk arts, and Gwanhonsangje, and then they were not handl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