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특정하게 재현되고 배치되어 온 동물-여성에 관해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길고양이와 캣맘을 중심으로 인간과 동물의 교차적 배치와 공생적 돌봄을 논의했다. 길고양이는 도시의 다른 어떤 동물보다 인간과 깊이 관계 맺고 있는 동물이다. 길고양이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인간은 캣맘이다. 캣맘과 길고양이는 동물로서 여성, 여성으로서 동물로 서로를 체현한다. 이 글은 그들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재현과 의미들을 살필 뿐 아니라 캣맘과 길고양이의 행위자성과 돌봄의 관계성을 다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차성과 배치를 주요 개념으로 삼고, 다큐멘터리를 중심 연구대상으로 삼아 어떻게 교차적 존재로서 동물-되기를 실현하는지 분석했다. 또한 캣맘과 길고양이가 동물화되고 여성화된 몸으로서 상호의존하는 ‘난잡한 돌봄’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시의 주변부에서 인간/동물 경계를 넘어서는 공동체를 생성하고 있음을 분석했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unique phenomenon of the animal-woman that has emerged within Korean society. Specifically, it investigates the intersecting assemblage and symbiotic care between humans and animals, focusing on stray cats and their caretakes, referred to as “cat-moms”. Stray cats have a deeper relationship with humans than any other animal in the city, specifically, with cat-moms who form intimate bonds with stray cats. The cat-mom and the stray cat become intertwined,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womanhood and animality. This article examines the social and cultural representations and meanings surrounding cat-moms and stray cats. It also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gency and caring. Therefore, an analysis is conducted on how becoming animals is realized as an intersectional existence by using intersectionality and assemblage as the main concepts, and “Don't Feed The Stray Cats”(2021) as the main subject for analysis. Furthermore, it was analyzed that cat-moms and stray cats, as embodiments of femininity and animality, engage in co-dependent care in which they rely on each other and create a community that transcends the human–animal boundary in the periphery of the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