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목적은 서정주의 부성 경험과 부성 콤플렉스가 시인의 영원성 시학의 시작과 신라정신 탐구에 영향을 미쳤음을 밝히는 데 있다. 시 「자화상」에서 보이듯, 서정주는 ‘종’의 아들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 서정주는 농감인 아버지의 신분으로 인해 수치심을 느꼈다. 서정주에게 아버지는 질서와 권위, 금지하고 처벌할 힘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무능력한 존재였다. ‘피’의 구속력으로부터 자유롭길 원했던 그는 새로운 세계를 향한 자유로운 시정신을 쫓았다. 1942년 부친의 죽음은 서정주에게 큰 변화를 가져왔다. 서정주는 그토록 거부하고자 했던 아버지의 상(image)을 자신의 모습 속에서 발견했다. 무의식 속에 그림자로 억압된 아버지를 의식화함으로써, 서정주는 새로운 자기인식을 얻게 된다. 즉, 자신의 부성 콤플렉스를 일정 부분 극복하게 된 것이다. 자기인식의 변화는 세계인식의 변화를 동반한다. 수치심으로 인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함에 따라, 서정주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낙관적 태도로 세계를 인식하게 되었다. 그는 관능과 죽음의 육체성에 대한 시 대신 선인(先人)들의 영혼의 현존에 대한 시를 쓰기 시작한다. 그런데 이러한 시적 경향이 변하는 시기가 그의 친일 활동 시기와 겹친다. 이는 부성 콤플렉스가 일부 해소되는 과정에서, 자기 수용의 정신적 태도가 부조리한 현실 수용의 기제로도 작동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서정주는 망상과 환청 등의 정신질환을 겪는다. 이는 아버지의 신분으로 인해 권력 관계에서 기인하는 모욕감과 수치심의 기억이 전쟁의 공포 속에서 재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정주는 피난 생활 중 자살 시도를 한 이후, 『삼국유사』 등 신라의 신화를 접하면서 변화된 자신의 시 세계를 심화, 확장할 세계관을 발견했다. 신라의 혼교 관념을 통해 서정주는 산 자와 죽은 자가 연결되고,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가 연결되어 있는 온전한 하나의 세계를 희구했다. 아무것도 사라지지 않는 세계, 즉 영원한 세계는 그 자체로 질서 잡혀 있는 안전한 세계였다. 이는 아버지의 보호 속에서 세계의 미적 질서를 경험하길 원했던 그의 결핍과 욕망이 투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how Seo Jeong-ju's father complex and paternal experience affected the beginning of his poetics of eternity and his quest to find the spirit of Silla. Seo Jeong-ju had an identity as the son of a "servant," as the poetry [Self-portrait] demonstrates. Seo Jeong-ju saw his father not as the one with the power to command, authorize, forbid, and punish, but as an incompetent man. He chased a free spirit of poetry into a new universe because he yearned to be free from the shackling influence of "blood." Seo Jeong-ju's life underwent a significant upheaval after his father passed away in 1942. The image of his father that Seo Jeong-ju had wished to shun is found in him. By awakening his father, who was repressed by the shadow in his unconsciousness, Seo Jeong-ju developed a new sense of self. He has therefore largely conquered his father complex. Hi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lso changed as he became more self-aware. Seo Jeong-ju developed an optimistic outlook on the world as his shame-based negative opinion of himself began to transform into a positive one. He started writing poems about the existence of ancestors' souls rather than pleasure and the materiality of death. However, the time when this lyrical inclination shifts is also when he engages in pro-Japanese activities. It appears that his mental attitude of acceptance of who he was also served as a strategy for accepting the ludicrous reality while the father complex was being partially resolved. Seo Jeong-ju experienced mental illness during the Korean War, including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horror of war regenerating the memory of the insult and disgrace created by the power relationship caused by his father's status. After Seo Jeong-ju attempted suicide while living as a refugee, he encountered Silla stories lik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which helped him develop a worldview to broaden and enrich his altered poetic universe. Seo Jeong-ju sought a complete universe in which the living and the dead, as well as the visible and invisible worlds, are connected through Silla's concept of spiritual communion. The world that never ends, the eternal world, was a peaceful and secure place in and of itself. This can be attributed to his lack and desire to experience the aesthetic order of the world under the protection of his fa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