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산 정약용의 도덕 사상을 상제 중심적 체계가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의미를 획득하는 체계로 분석하고 그 토대 위에서 그의 정치 이론을 규명한다. 그러기 위해 먼저 선진 유학에서 도덕과 정치가 어떤 관계로 설명되는지, 그리고 그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하여 공과 사 개념을 규명한다. 이러한 선진 유학에서 도덕과 정치의 관계가 성리학에서는 그 관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분석하고 그러한 성리학적 체계를 다산 정약용이 어떻게 비판하는지를 규명한다. 우리는 성리학 체계에 대한 그의 비판에서 그가 규정하는 도덕과 정치의 관계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오늘날 우리 민주주의 토대 위에서 그의 정치론이 어떤 의미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Dasan Jeong Yagyong's moral ideology as a system that acquires meaning in various social contexts, not as a system centered on Sangje(上帝), and examines his theory of public service on that basis. To do this, we first trac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ity and politics is explained in Pre-Qin Confucianism and how the relationship changes, and how the relationship has changed in Neo-Confucianism and further analyzes how Dasan Jeong Yak-Yong criticizes such Neo-Confucian system. Based on his critique,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ity and politics that he defines, can identify what means his politic theory on foundation of our democracy at the present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