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귀환 서사로서의 <잔등>이 고국으로 귀환했음에도 불구하고 귀환의 불가능성을 깨달을 수밖에 없는 고국 상실자의 역설적 운명을 보여준 작품이라는 문제의식에 서서 이를 서술자 ‘나’의 귀환 여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잔등>은 일본 제국의 붕괴가 초래한 역사적 상황의 변화로 인해 만주를 탈출하여 고국으로 귀환할 수밖에 없었던 피난민의 운명과 만주 이주 조선인이 겪을 수밖에 없었던 고통스러운 집단 기억을, 고국 상실 상태의 피난민인 ‘나’의 기억을 매개로 소환된 ‘사촌매부’ 일족의 불행한 삶의 서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둘째, <잔등>은 해방된 조선에서 타자화될 수밖에 없는 잔류 일본인의 운명과 타자화된 피난민인 자신의 운명을 동일시하는 ‘나’를 내면을 통해 타자의 고통에 대한 공감의 가능성을 환기해 주고 있다. 셋째, 고국에 귀환했음에도 불구하고 민족 공동체의 외부에 놓일 수밖에 없는 내면의 고독을 표상하는 ‘제삼자의 정신’은 영원히 불안정한 상태의 타자가 되는 것, 더 이상 이전의 상태, 즉 향수 속에서 상상된 고국에 있는 듯한 안정된 상황으로 귀환할 수 없다는 ‘나’의 절망적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타자의 배제를 통해 민족의 서사를 구축하려는 가혹한 혁명의 현실이 환상에 불과한 것임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저항적 의미를 갖는다.


From the perspective of 'exile criticism',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at Heo Jun's novel Jandeung., as a return narrative, is a work that shows the paradoxical situation of exiles who cannot but realize the impossibility of returning to his homeland despite having returned to his homeland, through an analysis of the narrator's journey of return.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andeung. indirectly depicts the fate of the refugees who had to flee Manchuria and struggle to return to their homeland due to the change in historical circumstances brought about by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Empire, and the painful collective memory that the Korean migrants in Manchuria had to go through, through the unfortunate life narrative of the 'cousin and uncle' clan, which is recalled through the memory of the the narrator, 'I' on the return journey as a refugee in a state of homeland loss. Secondly, Jandeung. reminds us of the possibility of compassion for the suffering of others through the 'I' who identifies the fate of the residual Japanese, who are bound to be othered in a liberated Korea, with their own fate as othered refugees on the road to return. Third, the 'spirit of the third party', which represents the inner loneliness of being placed outside of the national community despite returning to the homeland, reveals the 'I''s despairing awareness of being a third party in an eternally unstable state, and of no longer being able to return to the stable situation of being in the homeland imagined in nostalgia. However, it has a resistant meaning in that it reveals that the reality of the harsh revolution, which seeks to build a national narrative through the exclusion of the other, is only an il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