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대중국어의 ‘S+很+A+O’ 구조는 형용사를 술어로 하는 타동구문을 형식으로 하여, ‘목적어(O)의 이유로 인해 주어(S)가 형용사술어(A)가 묘사하는 감정을 느낀다’는 의미를 표현하는 일종의 구문이다. 해당 구문은 목적어를 수반한다는 측면에서 일반적인 형용사술어문과 구별된다. 분석에 따르면 ‘S+很+A+O’ 구문에 출현가능한 술어는 2음절 형용사로 화자의 심리감정을 표현하는 의미특징을 지닌다. 성질형용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의지성을 지니며, 심리감정의 경험주와 심리감정을 느끼게 된 원인의 두 의미역을 각각 주어와 목적어로 가진다. ‘S+很+A+O’ 구문에는 동목구 목적어와 절목적어가 출현하는데, 다수의 구문이 두 형식을 모두 수반할 수 있지만, 일부는 둘 중 하나의 형식만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어 형식의 차이는 목적절이 표현하는 명제의 객관성과 관련되며, 최종적으로는 구문의 타동성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S+很+A+O’ 구문은 참여자의 수, 의지성, 행위주성 등에서 일반 형용사술어문보다 높은 타동성을 가지지만, 정도부사 ‘很’의 수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형용사술어문의 속성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종합적으로 동사에서 형용사술어문으로의 타동성 위계에서 심리동사술어문과 형용사술어문의 중간적 위치를 차지한다. ‘S+很+A+O’과 같은 심리형용사구문은 범언어적으로 보편적으로 존재하며, 특히 그 형식이 타동구조를 통해 실현되는 사례가 많은데, 이는 타동구조가 가지는 생산성, 경제성에 기인한 결과이다.


The ‘S+hen(很)+A+O’ structure of modern Chinese is a transitive construction with an adjective as a main predicate, and is distinguished from general adjective-predicate sentences in that it accompanies an objec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predicate used in the phrase ‘S+hen+A+O’ is a disyllabic adjective and represents the speaker’s mental state. Compared to other adjectives, it shows a relatively high willingness. In the construction ‘S+hen+A+O’, O can be a VP object or a clausal object, and in many cases it can accompany both forms, but in some cases it can only take one of the two forms. This difference in object form is related to the objectivity of the proposition expressed by the object clause, and ultimately affects the degree of transitivity of the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S+hen+A+O' has a higher transitivity than general adjective-predicate construc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participants, willingness, and agency, but the properties of adjective predicates are still the same in that the degree adverb '很' needs to be modified. The construction 'S+hen+A+O' occupies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psychological verbal predicates and adjective predicates in the continuum of transitivity. The psychological adjective construction 'S+hen+A+O' exists universally across languages, and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form is realized through a transitive structure, which is a result of the productivity and economy of the transitive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