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문화 이주 성인의 일반적인 특성과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에 영향 요인을 분석하자 실시하였다. 단면연구 설계를 이용하여 경기도 지역 다문화 이주 성인을 대상으로 총 300명 설문하고, 29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주요 출신 국가는 중국,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연령은 30대와 한국 거주기간은 1-5년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본국에서 구강보건교육경험은 ‘없음’175명(58.9%)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 충족 치과치료는‘있음’이 221명(74.4%)으로‘없음’에 비교하여 3배가 높게 나타났다. 미 충족 치과치료의 주된 이유는‘비용이 부담 돼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강건강행태가 구강보건지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 하였다. 구강보건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행태로 잇솔질 2회이상(B=1.170, p<0.05), 국민건강보험 가입(B=0.871, p<0.01)은 구강보건지식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 충족 치과치료가 있음(B=-1.122, p<0.001)은 구강보건지식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 이주 성인은 올바른 잇솔질 방법과 국민건강보험 가입, 미충족 치과진료를 해결하기 위한 다문화 구강건강지원사업의 필요를 확인하였으며, 다문화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로 적용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다문화 이주 성인에게 적합한 구강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nduct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 knowledg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 of multicultural immigrant adults. Using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a total of 300 multicultural immigrant adults were surveyed, and 297 were finally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1 program. The main countries of origin were China, Indonesia, and Bangladesh, the most common age was in their 30s, and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was 1-5 years. In their home country, the level of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was high at‘no’175(58.9%). As for unmet dental treatment, 221(74.4%) said ‘there is’, which is three times higher than ‘no’. The main reason for unmet dental treatment was ‘because the cost is burdensom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 behavior on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behaviors that affect oral health knowledge include brushing teeth more than twice (B=1.170, p<0.05) and subscribing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B=0.871, p<0.01), which have a positive(+) impact on oral health knowledge. Having unmet dental treatment(B=-1.122, p<0.001) appear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oral health knowledge. As a result of this study, multicultural immigrant adults confirmed the need for a multicultural oral health support project to learn how to brush their teeth correctly, sign up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solve unmet dental care needs, and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applied as a component of a multicultural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