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사회 면접교섭 제도 활성화를 위한 상담개입의 방향성과 면접교섭 제도의 향후 발전방향을 체계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면접교섭제도 이용 경험이 있는 이용자 4인과 면접교섭 제도 관련 자문의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7 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의 동의를 얻은 후 면담자료를 전사하였고, 이를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에 따라 오픈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3단계를 거쳐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면접교섭 제도이용자 인터뷰에서 2개의 대주제와 7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대주제는 ‘부모역할 수행에 도움이 된 요인’으로 ‘전문적 상담 및 코칭과 중재적 역할’, ‘상담사와 행정직원과의 따뜻한 관계적 교류’, ‘강점발견과 심리적 회복 및 임파워링’, ‘심리적 안전감 확보및 다양한 매체 활용이 가능한 쾌적한 공간’의 네 가지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대주제는 ‘면접교섭 상담제도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으로 ‘상담종료 후 지속적인 지지체계제공’, ‘이혼과 정상가족에 관한 편견 개선 교육용 자료 제공’, ‘면접교섭에 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 개선 노력’의 세 가지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면접교섭 제도 전문가 인터뷰에서 2개의 대주제와 6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대주제는 ‘상담위원의 통합적 역량’으로, ‘상담위원의 전문성’과 ‘상담위원의 태도 및 자세’라는 두 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대주제는 ‘상담 제도 및 환경’으로, ‘다양한 매체를 이용할 수 있는 물리적공간’, ‘상담 예약 시 빠른 이용과 운영 시간의 유연화’, ‘유관기관 간의 네트워크 확충’, ‘면접교섭 개념 및 상담인식 개선’의 네 가지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현재 한국사회에서 면접교섭권 제도는 발전의 초기단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면접교섭 제도이용자와 관련 전문가를 인터뷰하여 향후 면접교섭 제도의 실질적인 변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explore the direction of counseling intervention and future development of the Korea’s Visitation Rights counseling system. Method: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with four people who are user of Visitation Rights counseling system and seven experts who are related to Visitation Rights. Interview data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confirmation through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Results: Two major subjects and seven sub-subjects were derived from interview with user of Visitation Rights counseling system. Two major subjects were ‘Factors that help parenting’ and ‘Area that need to be developed to revitalize the visitation counseling system’. Two major subjects and six sub-subjects were derived from interview with experts of Visitation Rights. Two major subjects were ‘Integrated competency of Visitation Rights counselors’ and ‘Counseling system and attitude of counselors’. Conclusions: Currently, visitation rights counseling system is in the early stages of historical development in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practical direction of change in visitation rights counseling system in the future through experts related to visitation rights counseling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