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설(說)은 논설류 한문산문의 일종으로, 다양한 제재를 통해 하고 싶은 말을 전하는 장르적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설에서 어떤 제재를 동원했는지 분석하는 것은, 작가의 설 창작 의도와 그 효과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지명 및 지역을 제재로 한 설은 설의 보편적 특징도 있으면서 시대별로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조선시대 한문산문사의 변모 양상을 살피는 데에 도움이 된다. 본고에서는 『한국문집총간』에 실린 지명 및 지역을 제재로 한설은 총 14편을 통해 시기별 변화 양상에 주목했다. 지명 및 지역을 제재로 한 설의 구성 요소에 주목하여 시기별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17~18세기에 이르면 유람 과정에 대한 서술이 증가한다. 이전에는 지명 및 지역에 대해 작가의 의론이 중심이었는데, 17~18세기 지명 및 지역을 제재로 한 설은 유람 과정을 자세히 서술하여 작가의 정서를 보여주고, 이는 곧 궁극적 주제를 밝히기 위한 객으로써 동원된다. 이는 개별적 삶을 기록 대상으로 삼아 유기나 잡록류의 창작이 활발해진 조선 후기의 경향을 보여준다. 둘째, 17~19세기에 지명의 해설과 실증적 태도가 보이는 서술이 증가한다. 이전에도 지명 및 지역을 제재로한 설에서 공간의 사실적 정보가 가미되었지만, 그것은 주민들의 언급이나 작가의 의론형태로 제시되었다면, 17~19세기에는 작가의 세심한 관찰을 통해 지명의 어원을 밝히거나, 권위 있는 문헌을 인용하여 지명의 유래를 실증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이는 고증적 학문의 태도가 유행한 조선 후기라는 시대적 배경에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Sŏl based on place names and regions such as ‘Ulleungdo’, ‘East Sea’, ‘Busan’, villages and mountains were reviewed. Sŏl based on place names and regions hav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Sŏl, but also show changes by period, so it is helpful to examine the changing aspects of Classical Chinese prose history in the Chosŏn. First of all, based on <<Collections of Korean Literature>>, there are a total of 14 Sŏl based on place names and regions. If we look at the aspects of each period by paying attention to the elements of Sŏl based on place names and regions, we can find out two main characteristics. First,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description of the traveling process increased. Prior to the 17th century, the writer’s editorial was the center of the Sŏl about place names and regions, but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author’s emotion was revealed by describing the travel process in detail, which functioned as a means to reveal the ultimate theme. Th is is because of the trend in the late Chosŏn, when individual lives became the subject of records and travel essays and diaries were actively created. Second, in the 17th to 19th centuries, there appeared an attitude to actually prove the origin of place names. Even in the Sŏl about place names and regions before the 17th century, there was information of space, but it was presented as comments by residents or editorials by writers. However, in the 17th to 19th centuries, they tried to clarify the origin of place names through detailed observation by writers or by citing authoritative reference. Th i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late Chosŏn, when philology was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