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제 말기 제국 일본에 의해 일본어가 강요되는 상황에서 국민연극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무대에 일본어를 담아내야 했다. 대부분의 관객들이 일본어를 모르는 상황에서 이 계륵과도 같은 언어를 무대에서 사용하기란 매우 곤란한 상황이었다. 조선인 창작진들은 일본어를 사용하는 인물들을 공권력·교육·자본 등과 연결시키고조선인들의 삶과 직결된 생계의 언어로 전시함으로써 일본어 학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어 국민연극의 창작진들은 일본어 교육의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고민하였다. 그하나의 방법으로 국민연극은 무대 위에 무리한 일본어 사용보다는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발화되는 상황을 연출한다. 아울러 일본어가 특정 계층의 언어가 아닌 누구나 사용할수 있는 일상의 언어임을 보여주었다. 단, 죽음을 환기시키는 장면에서는 일본어는 은폐의 언어로 기능하였다. 일본어에 대한 국민연극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제 말기가 될 때까지 일본어는조선인들에게 제1의 언어로서 자격을 획득하지 못했다. 이는 제국 일본이 펼친 언어 정책의 실패이자 동시에 막강한 지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제국 일본의 미션을 수행하지 못한 국민연극의 실패이기도 하다.


In a situation where Japanese was forced by Imperial Japa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national plays had to include Japanese on stage in some way. It was very diffi cult to use this unfamiliar language on stage when most of the audience did not know Japanese. Korean creative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learning Japanese by connecting Japanesespeaking characters with public power, education, capital, etc. and displaying them as a language of livelihood directly related to the lives of Koreans. Next, the creative team of the national play thought about eff ective learning methods for Japanese language education. One way is to create a situation where Japanese is spoken naturally in everyday life rather than using excessive Japanese on stage. In addition, it showed that Japanese is not a language of a specifi c class, but an everyday language that anyone can use. However, in scenes that evoke death, Japanese functioned as a language of concealment. Despite the various eff orts of national theater in Japanese, Japanese did not acquire the status of the fi rst language of Koreans until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 is is a failure of imperial Japan’s language policy and at the same time a failure of the national theater, which failed to fulfi ll imperial Japan’s mission despite receiving strong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