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현대사에서 시위 진압에 군을 동원하기 위해 활용되었던 위수령의 기원과 활용 과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했다. 1950년 3월 27일 대통령령 제296호로 공포된 위수령은 일본 메이지시기의 위수령을 모방한 법령이었다. 일본의 위수령은 애초에 진대제를 폐지하고 사단제를 실시함에 따라 기존 진대제의 지역 방위기능을 승계하기 위해제정된 것으로, 메이지유신 이후 정부직할군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헌병의 부재와 경찰력의 미비로 진대가 지역의 치안 유지, 군 시설 경비, 군기 감시 등의 역할을 모두 수행했던 상황을 반영한 조례였다. 이승만 정부는 여순사건 이후 정세 혼란과 군의 확대라는상황에서 군의 치안 개입과 군기 감시를 위해 일본 위수령을 그대로 모방한 법령을 제정·공포했던 것이다. 그러나 한국전쟁을 거치며 위수령은 거의 유명무실화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한국전쟁기 전선이 빈번히 변동하고, 계엄이 상시 선포된 상태에서 일정한 지역에 상주하는 군의 경비를 규정한 위수령의 효력이 발휘되기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휴전 후 한국군이 20개 사단으로 재편되며 후방 경비 임무는 제2군 산하 군관구사령부와 예비사단이 맡게 되었다. 1965년 한일협정 조인·비준 반대운동에 직면한 박정희 정부는 계엄 선포의 대안으로위수령을 다시 불러냈다. 6·3사태 이후 1년 만에 다시 계엄을 선포한다면 뒤따를 정치적 부담을 우려하여, 계엄이 아닌 방식으로 군을 동원하려 했기 때문이었다. 위수령은병기사용권과 체포권 규정을 가진다는 점에서 활용하기에 편리했고, 무엇보다 서울의주력 시위 진압 부대였던 수도경비사령부가 위수사령부가 되어 전방 지역에서 동원된야전 부대를 지휘할 수 있는 규정을 가졌다.


This study historically analyzes the origins and use of the Wisuryeong(garrison decree) to mobilize the military to suppress protests in modern Korean history. Promulgated as Presidential Decree No. 296 on March 27, 1950, the Wisuryeong was modeled after the Japanese Meiji era’s Wisuryeong. The ordinance was originally enacted to take over the local defense functions of the existing jintai system when the jintai system was abolished and the division system was implemented, and reflected the situation where the jintai played a role in maintaining local security, guarding military facilities, and monitoring military aircraft due to the absence of gendarmes and the lack of a police forc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overnmental subdivisions after the Meiji Restoration. Th e Syngman Rhee government had enacted and promulgated the ordinance, which was modeled after the Japanese Wisuryeong, in order to intervene in public security and monitor military fl ags in a situation of political turmoil and military expansion after the Yeosun incident. However, during the Korean War, Wisuryeong was largely abandoned, as the Korean War front frequently shifted and martial law was declared at all times, making it diffi cult to enforce Wisuryeong, which stipulated military security in certain areas. Furthermore, after the armistice, the South Korean army was reorganized into 20 divisions, and rear-guard duties were assigned to the Military District Command and Reserve Divisions under the Second Army. As a result, the Wisu Order was largely forgotten. In 1965, Park Chung-hee’s government, faced with opposition to the signing and ratifi cation of the Korea-Japan Agreement, invoked the “forgotten” Wisuryeong as an alternative to declaring martial law. Worried about the political fallout of declaring martial law again a year after the June 3 Incident, Park sought to mobilize the military in a non-martial law manner. Wisuryeong was convenient to use because it provided for the use of arms and the right to arrest, and most importantly, it provided that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Command, the main protest suppression force in Seoul, became the Wisuryeong Command and could command fi eld units mobilized from the forward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