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와 무관련한 부정적인 얼굴 표정 자극이 시각 혹은 공간 정보를 유지하고 재인하는 과제의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선행 연구들은 과제와 무관련한 부정적인 장면 자극이 공간 정보의 기억을 간섭하는 반면, 시각 정보의 기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얼굴 표정 자극을 이용한 경우에도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위해 실험 1에서는 위치 자극을 기억해야 하는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도형 자극을 기억해야 하는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참가자들이 기억 속에 자극을 유지하는 동안 부정적 얼굴 표정과 중립적 얼굴 표정이 제시되었다. 그 결과 공간 기억 과제(실험 1) 에서는 부정적 얼굴 표정이 수행을 향상시킨 반면, 시각 기억 과제(실험 2)에서는 얼굴 표정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실 내에서 장면 자극과 얼굴 표정으로 인해 유도된 부정적인 정서의 처리가 공간적 주의자원을 사용하지만, 그 처리방식은 자극의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작업기억 내에서 시각적인 정보와 공간적인 정보가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ask-irrelevant negative facial expression stimuli on performance in tasks requiring the maintenance and recognition of visual or spatial information.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task-irrelevant negative scene stimuli affect spatial memory but not visual memory. To further explore these findings, our study expands on them by examining the effects of facial expression stimuli.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remember location stimuli, while in Experiment 2, they were asked to remember shape stimuli. Throughout both experiments, negative and neutral facial expressions were presented while participants held the stimuli in memory. Interestingly, our results reveal that negative facial expressions enhance performance compared to neutral in a spatial memory task (in Experiment 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 visual memory task (in Experiment 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th negative emotions evoked by scene stimuli and facial expressions engage spatial attentional resources. However, the specific processing mechanism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stimulus. Moreover, the results indicate that visual and spatial information might be processed independently in working mem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