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과거 10년 남짓한 시간 동안 한국의 공간 정책을 대표했던 도시 재생 프로 그램을 국가 공간(state space)과 공간 선택성(spatial selectivity) 차원에서 분석한다. 우선 포괄적인 의미에서 국가 공간을 분석해 온 기존의 연구 프레임을 검토하여, 특정 정책 프로그램을 국가 공간 형태 변동의 한 가지 벡터로 이해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과거 도시 재생 프로그램, 특히 ‘도시재생뉴딜’ 사업이 공간 프로젝트로서 선택, 형성해 온 국가 공간 내 경향성을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중앙 정부 주도의 일사 분란한 도시 재생 정책이 국가 공간 내에서 국가 스케일 중심의 하향식 동질화를 일으켜 온 하나의 국가 공간 프로젝트임을 이론적으로 규명한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필 자는 근본적인 지방 분권, 재정 분권의 방향을 생각하는 것 외에, 현행 정책 프로그램 각각의 공간 선택과 그것이 초래하는 국가 공간 상의 변동 벡터를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실천을 주문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urban regeneration program, portraying a spatial policy for the past ten years in the aspects of state space and spatial selectivity. First, by examining the existing research frame that has analyzed state space broadly, this study introduces a method of understanding a specific policy program as a vector of state spatial shape change. Through this, it analyzes the trends within the state space that past urban regeneration programs, especially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have been selected and formed as spatial projects. As a result, this study theoretically identifies that the central government-led urban regeneration policy is a state spatial project that has caused top-down homogenization at the national scale within the state space. Through these conclusions, in addition to thinking about the direction of fundamental decentralization and fiscal decentralization, this paper urges the practice of continuously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spatial selection of each current policy program and the vector of fluctuations in the state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