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말하기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면 발표와 비대면 발표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교육은 대학 교육의 한 양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학습자들의 발표 수행 또한 대면과 비대면이라는 전혀 다른 맥락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맥락이의사소통 방식과 인식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대면 및 비대면 발표 상황에서 발표 수행과 동료피드백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말하기 교과목 참여자총 60명을 대상으로 대면 발표 자료와 비대면 발표 자료를 수집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면 발표와 비대면 발표 수행 시 발표자들이 사용한 언어표현적 요소, 음성적 요소, 시각적 요소등에 세부적인 차이가 있었다. 또한 동료피드백에서도 논평형 피드백의 비중과 발표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기준 등이 수업 방식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 토대로 대면 발표와 비대면 발표 시 차별화된 교육 전략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비대면 발표 교육을 위해 학습실재감을 높이고, 발표문 활용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ce-to-face and non face-to-face presentations centered on the case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eaking classes. Since COVID-19, non face-to-face education has become a form of university education, and learners' presentations have been made in a completely different context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made in face-to-face or non face-to-face classes. Therefore, based on the previous study showing that the context can affect communication methods and perceptions, the presentation and the peer feedback pattern in the face-to-face and non face-to-face situations were examined. To this end, the face-to-face presentations of 60 participants enrolled in speaking courses were collected, to which their non face-to-face presentations were compared. As a result, in terms of presentation, the language expressions, voice elements, and visual elements in their face-to-face presentations and non face-to -face presentations showed different aspects. In addition, peer feedback also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class methods, such as evaluating the proportion and the adequacy of the present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learned that we need a differentiated educational strategy for face-to-face presentations and non face-to-face presentations. We also discussed how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realism of learning and to use presentations to achieve this go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