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소수의 선도학교 사례를 통해 미시적 학교혁신 확산 모델을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 학교혁신의 저변 확대와 지속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 A교육지원청 혁신초등학교 집단을 대상으로 학교혁신 확산 현상에 대한 질적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혁신은 혁신가학교, 조기수용학교, 조기다수학교, 후기다수학교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혁신가학교의 탄생과 성장’, ‘학교 간 혁신의 전파 및 학교 안 혁신의 안착’, ‘더 나은 혁신을 향한 재성찰’의 단계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혁신의 확산은 개인 차원과 조직 차원, 조직 간 네트워크 차원, 제도 차원, 구조 차원 등 다양한 차원의 요인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단위학교와 교육지원청 범위의 학교혁신의 확산에 복잡한 양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서울시 A교육지원청 혁신초등학교 맥락의 학교혁신 확산 모델을 잠정적인 수준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자율성의 제도화를 통한 구성원들의 자발성 촉진, 교내외 다수의 커뮤니케이션 채널 형성 지원, 각 학교 맥락에 맞는 창조적 모방 장려 등 학교혁신의 확산 현상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ansion and sustainability of school innovation beyond the level of presenting a micro-school innovation diffusion model through a limited number of prominent school cases. To achieve this objective,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diffusion of school innovation in the Innovation Elementary Schools of A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Seou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diffusion was identified as consisting of three stages: the emergence and growth of innovative schools, the spread of innovation between schools and the establishment of innovation within schools, and the collective reflection toward better innovation. The diffusion of school innovation was discerned to be intricate, influenced by diverse factors across individual, organizational, inter-organizational network,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dimen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 tentative school innovation diffusion model specific to the context of Innovation Elementary Schools in the A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Seoul was introduced. Moreov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iffusion of school innovation were proposed. These include the encouragement of teachers' spontaneity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utonomy,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both within and outside the school, and encouraging creative imitation tailored to each school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