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청소년사업 참가 청소년과 청소년지도자의 목소리를 기반으로 각자가 인식하는 청소년 행복과 스트레스, 스트레스 극복방법, 청소년사업에 대한 생각을 비교분석 하여 향후 청소년사업의 개선점을 도출하고 이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성남시 청소년사업에 1년 이상 경험이 있는 청소년 13명, 이를 담당하는 청소년지도자 13명에 대해 면담을 실시했고, 면담 내용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인 토픽모델링을 활용해 분석했다. 청소년의 행복, 청소년의 스트레스 상황, 스트레스 극복방안, 청소년사업에 관한 입장 총 4개의 측면으로 나누어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청소년과 청소년지도자의 인식 사이, 즉 청소년사업의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에 인식의 간극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사업의 강점을 강화함과 동시에 청소년사업이 청소년이 일상 속에서 경험하는 요소(학업, 관계 등)들이 밀접하게 연동되고, 청소년을 둘러싼 관계에서도 청소년사업의 긍정적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the perceived happiness, stress, coping mechanisms, and views on youth work of the youth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insights from both the youth and youth workers involved in community-based initiatives. The primary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in future youth work and to provide a foundation relevant to these area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youths who had participated in Seongnam City's youth work for more than a year, as well as with 13 corresponding youth workers. The content of these interviews was rigorously analyzed using topic modeling.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areas: the youth’s perceived happiness, sources of stress, coping mechanisms, and views on youth work. A significant observation was the perceptual gap between the youth and their youth workers. The analysis underscored the inherent strengths of current youth work, emphasizing the need for tailored solutions to address the fundamental challenges youths face in their everyday lives, such as academic pressur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