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Elliot, Murayama, Pekrun(2011)의 3×2 성취목표 모형에 사람중심의 분석을 적용하여 성취목표 프로파일 유형을 분류하고 주관적 웰빙(삶의 만족, 정적 정서, 부적 정서), 정서적 탈진, 희망 수준에서 성취목표 프로파일 유형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전국 4년제 대학교 재학생 965명의 온라인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잠재 프로파일 분석 결과, 성취목표 프로파일 6유형이 분류되었다. 이 가운데 5개 유형(전반적 이탈, 전반적 하, 전반적 평균하, 전반적 평균상, 전반적 상)은 중다목표 관점을 지지하였고, 나머지 한 유형(타인비교 하 유형)은 타인과 비교해 자신의 유능함을 증명하거나 부족함을 감추려는 목표를 지향하는 수준이 매우 낮은 반면에 과제숙달과 자기성장의 목표를 지향하는 수준은 평균상 범위에 속하였다. Mplus에서 각 결과변수를 BCH 보조변수로 설정하고 성취목표 프로파일 유형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삶의 만족, 정적 정서, 정서적 탈진, 희망 수준에서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였고 부적 정서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타인비교 하 유형의 대학생들이 삶의 만족, 정적 정서, 희망 수준이 높고 정서적 탈진 수준이 낮아 가장 적응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여러 웰빙 지표와 관련지어 대학생의 성취목표 지향 양상을 검토해야 할 필요성과 대학생의 웰빙 증진을 위해 타인과의 비교보다 과제숙달과 자기성장의 목표 지향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tested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emotional exhaustion, and hope among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rofiles from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Elliot et al.’s (2011) 3×2 achievement goal model. Onlin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965 college students in Korea. First, six latent group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n six achievement goals of the 3×2 model. Classification of overall disengaged, overall low, overall below average, overall above average, and overall high groups supported the multiple goals perspective but low comparison with others group was characterized by very low orientation toward demonstrating or validating one’s competence but above average orientation toward task mastery and growth. Second, the Mplus BCH analysis revealed that group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life satisfaction, positive affect, emotional exhaustion, and hope but were not significant in negative affect. Low comparison with others group was found well adjusted in terms of high levels in life satisfaction, positive affect, and hope but a low level in emotional exhaustion. Findings imply the necessity of examining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in relation to various indices of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