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Q-방법을 활용하여 대표관료제에 대한 다양한 계층의 학계 전문가와 정부및 공공기관 관계자의 주관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대표관료제에대한 네 가지 패턴의 인식과 태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대표관료제를 도입하려 할 때 이 제도가 사회적 맥락에 따라 진화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재검토하여야 하며,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하여야 하는것을 도출하였다는 점이다. 실천적 시사점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 입안자가 대표관료제를 도입하려 할 때,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우려에 대하여 포괄적이고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대표관료제의 수립에 수반된 복잡성을 조명하였기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표관료제의 도입 시 대표성, 적응성, 정책 결과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대표관료제와 관련한 연구에도 기여한 점이 있다.


In this study, a Q-method analysis was employed to scrutinize the operant subjectivity regarding representative bureaucracy among a cohort comprising academic experts and professionals across multiple tiers of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he analysis brought to light four distinct patterns, each representing a discrete set of attitudes and perception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call for a reexamination of representative bureaucracy as a multifaceted and evolving construct, and call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ories that are adaptive, context-sensitive, and mindful of unintended consequences.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the findings provide insights for policymakers and public administrators, illuminating the complexities involved in formulating representative bureaucracy policies that are both comprehensive and responsive to the concerns of a diverse array of stakeholder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representative bureaucracy by elucidating the heterogeneous attitudes and perceptions among key stakeholders, and by highlighting the need for policies that are grounded in a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representation, adaptability, and policy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