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진로전담교사들의 진로교육경험을 전문성 발달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진로전담교사 역할에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진로교육에 대한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질적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연구물 선정 절차에 따라 8편의 질적연구물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전담교사의 진로교육경험에 대한 개별연구물에서 핵심적 개념 전문성, 인정, 정체성, 현실적, 역할, 협력, 학습, 보람, 지지의 9개가 도출되었으며, 이 핵심개념을 토대로 ‘낮아지는 교사로서의 자존감, ‘진로교사로서의 역할 혼란과 두려움’, ‘정체성 형성을 위한 자주적노력’, ‘역할 수행을 지속하게 하는 원동력’의 4개의 범주, 그리고 9개의 하위 개념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진로전담교사대상 연구는 전로전담교사의 역할과 수행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주로 양적연구방법으로진행되었기 때문에 진로전담교사의 구체적이고 전체적인 경험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진로전담교사경험에 관한 질적연구물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중등학교 현장에서 진로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진로전담교사들에게그 역할에 대한 통합적 해석과 논의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career teachers and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career education by analyzing career teachers’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in secondary schools. Thus, a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nine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based on the research article selection procedure. Through the analysis, nine key concepts, namely recognition, identity, realistic, role, cooperation, learning, worthwhile, and support were derived from individual studies on career teachers'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Four categories, that is, "self-esteem, role confusion, and fear as a career teacher,” “self-motivated efforts to form an identity,” and “motivation to continue to perform the role” and 9 sub-concepts were identified. Moreover, although studies on the role and performance difficulties of career teachers in charge of career development have been conducted, there is no clarity on the specific and overall experiences of career teachers in charge of career education because these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we comprehensively analyzed qualitative research on career teachers’ experiences and presented an integrated interpretation and discussion on the role of career teachers in charge of career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