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본은 1950년대부터 독도 침탈의 야욕을 본격화하여 독도를 고유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일본이 독도를 자국의 고유영토라고 주장하는 근거 13가지를 모두 소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의 고유영토론은 메이지 10년 태정관지령을 살펴보면 신기루임이 확실해 진다. 메이지 10년 태정관지령은 국가최고의사결정기관인 태정관에서 결정되었다는 점, 지령으로 발령되었으나 영토문제에 관하여 규율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영토에 대한 국가최고의사결정기관의 유권해석으로서 전국민에게 그 결정이 구속된다는 점, 울릉도쟁계와 함께 겐로쿠 도해금지령, 덴포 도해금지령, 메이지 도해금지령과의 연장선 상에서 이해될 국가의사이자 국가행위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메이지 10년 태정관지령은 국제법상의 법리인 행위의 국가로의 귀속 법리가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ICJ 핵실험 사건 상의 구속력 있는 일방적 선언의 법리를 유추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토문제에 대한 국가최고의사결정기관의 유권해석으로 볼 때, 이는 구속력 있는 일방적 선언의 법리를 유추하여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1950s, Japan has been in full swing with its ambition to re-invade Dokdo, claiming Dokdo as its own inherent territory. In this article, all 13 grounds for Japan's claim to Dokdo as its own inherent territory were introduced. However, it is clear that such theory of Japan's inherent territory is a mirage when looking at the Taijokan Directive in the 10th year of Meiji. The fact that the Meiji 10 Taizokwan Directive was decided by the Taizokan, the highest national decision-making body, and that although it was issued as an order, it regulates territorial issues. Consequently, as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national highest decision-making body on the territory, the decision is bound to the whole nation. It should be recalled that, along with the Ulleungdo Dispute, it should be regarded as a state intention and act to be understood along the line with the Genroku, Dempo and Meiji Era Directives on Prohibition of Marine Passage to Ulleungdo. The Meiji 10 Daijokan Directive should apply the jurisprudence of the reversion of acts to the state, which is a juridical principle under international law.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the legal principle of a binding unilateral declaration in the ICJ nuclear test case can be inferred and applied. Considering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highest national decision-making body on territorial issues, this can be evaluated by inferring the legal principle of a binding unilateral decla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