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고위관료집단의 경력을 실증분석하여 경력구조를 유형화하고 고위관료집단의 특성 및 형성과정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이해를 제고하는데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한국 고위관료집단의 경력구조로 여러 유형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타당성 있는 실증분석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명박 정부 시기 기획재정부, 외교통상부, 보건복지부, 그리고 환경부 소속 고위관료집단의 사회적 배경과 경력구조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명박 정부 시기 고위관료집단의 특성을 밝히고 그들의 경력구조를 유형화하며, 부처별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고위관료집단의 경력구조를 총 7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비중은 부처간에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위관료집단 형성과 경력구조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한국 관료제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career paths of high-ranking bureaucrats in Korea, categorizes their career structures, and deepens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comprehension of the nuances of Korea’s high-ranking public bureaucracy. Although prior literature has suggested various career structures for these bureaucratic groups,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more empirical investigations rooted in individual career data to ensure research validity and reliability. This study delves into the social backgrounds and career patterns of high-ranking bureaucrats from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uring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areer structures of these bureaucrats can be segmented into seven distinct types, with the prevalence of each type differing across ministries. The analysis offers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elite bureaucratic group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within the Korean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