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90년대 이후 증가한 일본의 평화박물관은 공립뿐만 아니라 민간 설립의 박물관을 포함하여 세계적으로 많은 수를 자랑한다. 그러나 일본의 박물관이 기억하고자 하는 ‘전쟁 기억’은 지역의 공습과 원폭 피해에 집중되어 있으며, 현재의 일본 영토를 벗어나서 행해졌던 일본군의 가해 행위에 관한 기억은 점점 잊혀져가고 있다. 이 글은 전쟁을 기억하고자 만들어진 평화박물관이 어떻게 하여 자국의 피해만을 기억하게 됐는지, 1990년대 이후 역사수정주의 세력의 확장이 박물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검토하였다. 박물관의 전쟁 전시에서 가해의 역사를 지우고 일본/일본인을 전쟁의 희생자로 기억하며, 반쪽의 역사 만을 긍정하고 합리화하여 전쟁을 기억하고자 하는 역사수정주의적 인식이 확실한 성과를 거두며 박물관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모습을 국공립의 박물관을 중심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수정주의자들의 제국에 대한 욕망을 박물관에 투영시킴으로써 일어나는 동아시아의 갈등을 통해 박물관이라는 ‘문화시설’이 ‘전쟁 기억’을 왜곡하고 은폐하는 폭력으로서 ‘문화권력’ 이 자행되는 하나의 장소가 된다는 점도 엿볼 수 있다.


The number of peace museums in Japan, which has increased since the 1990s, is one of the largest in the world, including both public and private establishments. However, the "war memory" that these museums seek to commemorate focuses on local air raids and atomic bombings, while the memory of Japanese military atrocities outside of Japan's current territory is increasingly forgotten.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Peace Museum, which was created to remember the war, has come to remember only its own victims, and how the expansion of historical revisionist forces since the 1990s has affected the museum. It was found that the revisionist perception of history, which seeks to remember the war by erasing the history of perpetration from the museum's war exhibits, remembering Japan/Japanese people as victims of the war, and affirming and rationalizing only half of the history, has been gaining ground in museums with clear success, especially in the national and public museums. Through the conflicts in East Asia, where historical revisionist's desire for empire is projected onto museums, we can also see that museums become a place where 'cultural power' is perpetrated as a violence that distorts and conceals 'war memory'.


1990年代以降増加した日本の平和博物館は公立だけでなく民間設立の博物館も含め世界的に多くの数を誇る。しかし、日本の博物館が記憶しようとする「戦争記憶」は地域の空襲と原爆被害に集中しており、戦場で行われた日本軍の加害行為に関する記憶はだんだん忘れられてきている。 本稿は戦争を記憶しようと作られた平和博物館がどのようにして自国の被害だけを記憶するようになったのか、1990年代以後、歴史修正主義の拡張が博物館にどのような影響を及ぼしたのかを検討した。博物館の戦争展示で加害の歴史を消し、日本/日本人を戦争の犠牲者として記憶し、半分の歴史だけを肯定・合理化して戦争を記憶しようとする歴史修正主義的認識が確実な成果を収め、博物館に定着しつつある姿が国公立博物館を中心に確認できた。歴史修正主義者の帝国に対する欲望を博物館に投影させることで起こる東アジアの葛藤を通じて、博物館という「文化施設」が「戦争記憶」を歪曲し隠蔽する暴力として「文化権力」が行われる一つの場所になるという点もうかがえ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