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 6학년 영어 어휘학습자를 대상으로 챗GPT를 활용한 귀납적, 연역적 어휘학습법의 지도가 어휘습득에미치는 영향을 즉후평가와 지연 사후평가를 통해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초등 6학년 네 개 학급이다. 선정된 학급은 사전 평가를 통해 동질성이 확보된 네 학급으로서 두 학급씩 나누어 실험집단으로 정하였다. 사전 어휘지식 검사 결과에 따라 연역적 어휘학습반 53명과 귀납적 어휘학습반 51명으로 나누어many, much 형용사와 명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장 표현을 지도하였다. 즉후평가는 실험수업 직후 어휘습득에 미치는 영향을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지연사후평가는 어휘습득 및 장기기억 유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수업 후 3주의 간격을 두고 실험집단 모두에게 실시하였다. 더 나아가, 실험수업 전 후로 어휘학습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업후 즉시 살펴본 효과는 연역적 문법지도가 귀납적 지도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로 효과가 있었다. 수업후 상당한 기간이 지나고 살펴본 지연 사후효과에서는 두 지도 방법의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설문조사 결과, 챗GPT를 활용한 어휘학습법의 지도가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인식을 주었다. 결론 many, much 형용사와 결합명사로 이루어진 문장을 지도할 때 모국어와 목표어의 언어 구조가 다른 어휘학습 환경을 고려하여 어휘학습자의 어휘습득에 방해가 되는 요인을 예상하여 지도한다면 어휘습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교사와 챗GPT로부터다양한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받음으로써 형용사와 명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장 쓰기를 중요한 어휘학습 전략으로 활용하는 연역적, 귀납적 어휘학습법 연구는 어휘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compare deductive and inductive vocabulary instructional effects on 6th graders’ uptakes by investigating the immediate post effects and their intakes (retention) by looking into the delayed post effets. Methods To this end, two experimental groups of two deductive (53 students) and two inductive (51 students) learning classes are selected out of 10 different classes based on their statistical homogenuity of the pre-test. After instruction, an immediate-post vocabulary test is given to two groups of students to find out the uptakes of the instruction. Three weeks after the immediate post-test, a delayed-post vocabulary test is given to two groups of students to find out the intakes or retention of the instruction.In addition, a quetionnaire on English vo cabulary learning experiences and method is surveyed on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intruction.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that deductive vocabulary instruction is significatly higher in uptakes, but the deductive group did not retain the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ir intakes. However the pre/post comparison of each instructional group showed that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learning are effective to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survey shows that students considers the vocabulary instruction using ChatGPT as positive experiences. Conclusions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the current study shows a promising prospect on English in struction using ChatGPT to motivate students’ English learning. The current study also provides the feasibility that ChatGPT can facilitate teachers’ feedback on students’ English learning by analizing their errors and difficul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