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에 겪은 학교폭력 경험이 이후 청소년기의 교우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전학경험의여부가 이 관계를 조절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13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의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졸업 시점까지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교우관계, 전학관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전처리 및 전학경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SPSS27을,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조절효과(다집단분석) 분석을 위하여 Mplus 8.3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초기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은 이후 청소년기의 교우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전학경험은 초기 청소년기의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이후 청소년기 교우관계의 부정적 관계를 완화해 준다. 결론 초기 청소년기의 학교폭력 경험은 이후 학교생활에서 교우관계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이 중 전학을 통해 새로운 또래집단에 참여한 경우 교우관계형성에 어려움이 덜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학교폭력 피해학생들이 전학을 선택할 수 있는 정책적인대안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adolescenc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peer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ol transfer experience. Methods Using panel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ongoing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hich has been conducted since 2013, we conducted an analysi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peer relationships, and transfer experiences from elementary 5th grade to high school graduation. For data preprocessing and identifying transfer experiences, we utilized SPSS 27, while for examining moderation effects (multigroup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employed Mplus 8.3. Results Firstly,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during early adolescence have a negative impact on subsequent peer relationships during the adolescent period. Secondly, transfer experiences moderate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during early adolescence on later peer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Conclusions Experiencing school violence during early adolescenc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formation of peer relationships during subsequent schooling. However, it was found that when students transfered schools and joined a new peer group, they experienced less difficulty in forming peer relationships. Therefore, policy alternatives that allow school violence victims to choose school transfer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