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19 시대 이후 소위 트랜스휴머니즘시대 혹은 포스트휴머니즘시대는 소통의 다양한 형태를 창출하면서 급기야 챗GPT(ChatGPT)의 시대를 직면하고 있다. 긴급한 시대의 변화 속에서 주체들의 소통의 형태는 왜곡되거나 진보된 양상으로 창출되기도 한다. 오늘날 테크놀로지가 인간의 정신적, 육체적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는 생각을 통칭하여 '트랜스휴머니즘'이라고 하는데, 트랜스휴머니즘은 포스트휴머니즘과 양립하기도 한다. 20세기의 주체들이 자극적이고 원색적이지만 익명성 뒤에 숨는 주체였다면, 21세기의 주체들은 정보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과잉 긍정성과 투명성의 주체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주체’가 누구인가에 대한 고전적인 질문으로 회귀하게 된다. 이 글은 첫째, 인본주의(humanism)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체 개념에 대하여 간략하게 검토하고, 챗GPT라는 ‘대화’모델의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이 인간(자연인)이 주도하는 담론의 주체 역할을 대체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둘째, 과잉 긍정의 정보와 대화의 디지털 상호 작용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혼란의 의식, 즉 '어느 것이 어느 것인가'라는 주체의 혼돈에 대해서 검토한다. 셋째, 생성 인공 지능이 미래 지식의 창의성을 주도할 것이라는 우려로 인해 발생할 지식 창출의 주체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주체의 지식 창의성과 지식생태학적 패러다임을 기독교 교육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After the COVID-19 era, the so-called transhumanism era or posthumanism era is facing the era of ChatGPT while creating various forms of communication. In the midst of urgent changes in the times, the form of communication of subjects is distorted or created in an advanced aspect. Nowadays, the idea that technology can be used to enhance human mental and physical abilities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ranshumanism,' which is also compatible with posthumanism. If subjects in the 20th century were stimulating and primary but hidden behind anonymity, subjects in the 21st century rais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who the 'subject' is due to the excessive positivity and transparency of information and digital communication. This paper first briefly reviews the subject concepts of humanism and postmodernism, and examines whether Generative AI of the 'dialogue' model called ChatGPT can replace the subject role of discourse led by humans (natural people). Secondly, the consciousness of confusion provided to us by the information of excessive positivity and the digital interaction of conversation, that is, the confusion of the subject of “which one is which?” is reviewed. Thirdly, the subject of knowledge creation that will arise due to the concern that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lead the creativity of future knowledge is reviewed. Finally, the subject's knowledge creativity and knowledge ecological paradigm are discussed from the Christian educational point of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