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형용사 ‘아프-’가 단일한 논항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다양한 논항 구조를 가지며, 전용도 일어남을 밝히는 것이다. 더불어 ‘아프-’의전용 구문을 개념적 혼성 이론을 적용해 분석해 보는 것이다. 각종 사전과 기존 연구에서 ‘아프-’는 주관성 형용사 중 감각형용사로 ‘NP1 (경험주)-가 NP2((신체 일부) 대상)-가 아프-’의 단일한 구조를 가진다고 보았다. 그러나 말뭉치 자료를 통해 ‘아프-’가 다양한 논항 구조로 나타남을 확인하고, 5가지로 유형 분류하였다. 특정 유형 간에는 전용도 일어나는데 이러한 전용 구문을 개념적 혼성 이론을 적용해 분석해 보았다. 개념적 혼성 이론은 형용사의 다의성에만 의지해서는쉽지 않은 형용사 전용 구문의 분석을 용이하게 해준다. 특히 형용사 술어와명사구 간의 연결 관계에 초점을 두어 분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Korean adjective ‘아프-’ does not have a single argument structure, but has various argument structures, and that conversion also occurs. Furthermore, the conversion construction of ‘아프-’ is analyzed by applying conceptual blending theory. In various dictionaries and existing studies, ‘아프-’ is a sensory adjective in the subclass of subjectivity adjectives and is considered to have a single structure of ‘NP1 (experiencer)-가 NP2 ((body part) theme)-가 아프-’. However, through corpus data, we found that the construction of ‘아프-’ is realized in various argument structures and we classified them into five types. There are also conversions between certain types, and we analyzed these conversions by applying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Conceptual blending theory facilitates the analysis of conversion constructions, which is not easy when relying on the polysemy of adjectives alone.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noun phrases with adjective predic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