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대학 교양 강좌에 개설된 대학 글쓰기 강좌를 수강한 학부생을대상으로 소논문 형식의 학술적 보고서 작성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대학 글쓰기강좌의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2023년 3월부터2023년 7월까지 약 5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4년제대학에서 2023년 1학기에 개설된 대학 글쓰기 강좌를 수강한 수강생 12명이다. 질적 분석방법에 따라 의미 있는 개념을 확인한 결과, ‘주제 선정 과정, 자료검색 과정, 조사 준비 및 조사 과정, 조사 결과 분석 과정, 전공 관련 도움, 팀활동 경험, 학습 결과물에 대한 인식’의 주제 7개와 각 주제에 대한 18개의 범주, 범주에 대한 33개의 단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분석을 통해 학부생의 학술적 보고서 작성 경험을 구체적으로 탐구하고, 학습자의 경험을통해 교육적 의의를 밝혔다. 이 연구는 학술적 글쓰기를 경험한 학습자들을 바탕으로 글쓰기 태도와 전략을 분석한 기초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irection of university writing courses. This was done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ve written academic reports in the format of a thesis, using Focus Group Interview (FGI) analysis methods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at universiti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ly 2023. The subjects were 12 students at a four-year college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who enrolled in a university writing course open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3. Following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 identified meaningful concepts and derived seven themes: ‘Topic selection process’, ‘Data search process’, ‘Research preparation and process’, ‘Analysis of research results’, ‘Help related to major’, ‘Team activity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learning outcomes’. We also identified 18 categories for each theme and 33 units for each category.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this study concretely explored the experience of undergraduates writing academic reports, illuminating educational significance through learners’ experience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as foundational data analyzing attitudes and strategies towards academic writing based on learners who have experience in academic wr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