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더-’를 가지는 ‘-더니, -었더니, -던데, -던지, -었더라면, -었던들, -더라도’ 7가지의 연결어미 접속문들이 선행절에 ‘來著’를 가지는 중국어접속문으로 대응될 수 있는지를 검토했다. 선행절에 ‘來著’를 가지는 중국어 무표지 접속문은 ‘-더-’ 계통 연결어미를 가지는 접속문과 마찬가지로 명시어구조를 이룬다는 점, ‘-더니, -던데, -던지, -었더니’에 의해 매개되는 4가지접속문만이 ‘來著’를 가지는 접속문으로 대응되고 나머지 ‘-더-’ 계통 연결어미의 접속문들은 ‘來著’를 가지는 접속문과 대응되지 않음을 확인했다. 선행절에대한 직접증거성 전제 의미를 요구하는 ‘來著’는 선․후행절 모두에 관한 직접증거성 요구를 가지는 ‘-더니’, 후행절에 관한 직접증거성의 요구만을 가지는 ‘-었더니’와의 대응을 보이지 않고 선행절에 관한 직접증거성의 요구를 가지는‘-던데, -던지’와의 대응을 보인다. 이러한 관찰은 한국어의 ‘-더-’ 계통 연결어미들이 공통의 직접증거성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는 양정석(2022b)의 주장을 지지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 whether the conjunctive sentences headed by Korean ‘-te-’ originated connective endings (i.e., ‘-teni’, ‘-tentey’, ‘-tenci’, ‘-telato’, ‘-esstelamyen’, ‘-esstentul’, and ‘-essteni’) could be interpreted as Chinese conjunctive sentences with ‘lai zhe’ in the preceding clause. The Chinese conjunctive sentences with ‘lai zhe’ in the preceding clause form ‘Specifier Constructions’ like the conjunctive sentences headed by Korean ‘-te-’ originated connective endings. Korean conjunctive sentences headed by ‘-teni’, ‘-essteni’, ‘-tentey’, ‘-tenci’ that have the direct evidential meaning can all be interpreted as Chinese conjunctive sentences with ‘lai zhe’, but Korean conjunctive sentences headed by ‘-esstelamyen’, ‘-esstentul’, and ‘-essteni’ can not. This observation supports the argument of Yang’s (2022b) that ‘-te-’ originated connective endings do not have a common direct evidential meaning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