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청력저하와 우울의 관계를 사회적 관계 만족도가 매개하는 데 있어 보청기 사용 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보건복지부의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독거노인 3,1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 청력저하는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의 청력저하는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매개하여 우울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거노인의 청력저하, 사회적 관계 만족도 그리고 우울 간의 간접효과에서 보청기 사용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여 보호요인으로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보건의료적 관점에서뿐 아니라 사회적 관점에서도 보조기기 사용의 중요성을규명함으로써 돌봄의 연속성 차원에서 보건의료와 복지 연계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정책적⋅실천적⋅연구적 관점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또한 독거노인의 기능저하에 주목하여 지역사회 내에서의 건강한 삶, 주체적인 삶을 위해서 현재의분절적인 체계를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hearing aid u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loss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mediated by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n Older Korean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of 3,117 older adults living alon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earing loss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significantly predicted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hearing loss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depression through mediating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hearing aid use was significant and acted as a protective factor in the indirect effect between hearing loss,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Based on our findings, we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using assistive devices not only from a healthcare perspective but also from a social perspective,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linking healthcare and social work in the continuum of care. In addition, by focusing on the functional decline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this study proposed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current segmented system for healthy and independent living in th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