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17세기 全羅道 羅州의 在野知識人이었던 金萬英(1624~1671)의 생애와 經世論을 살폈다. 김만영의 생애는 壬辰倭亂(1592)과 仁祖反正(1623)의 여파, 丁卯胡亂(1627), 丙子胡亂(1636), 己亥禮訟(1659) 등 조선의 정치ㆍ사회적 격변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김만영은 朴淳家ㆍ羅士沈家ㆍ高敬命家ㆍ李後白家 등 호남의 문벌 가문들과의 척연 및 사승관계를 형성하고 있었고, 학문ㆍ사회적 좌표 또한 花潭ㆍ南冥學의 영향권 속에 자리하고 있었다. 특히 호남에 다녀 온 관찰사ㆍ어사로 다녀 온 元斗杓ㆍ閔鼎重ㆍ南九萬 등은 김만영의 학문적 성취에 대해 注視했던 대표적인 인물들이었고, 尹拯 또한 그를 호남을 대표하는 遺逸로 평가했다. 重臣들의 褒啓는 김만영에게 內侍敎官ㆍ洗馬ㆍ司勇 등의 관함이 내려지는 것으로 이어졌고, 김만영은 <感天恩>을 통해 자신을 인정해 준 국왕에 대한 忠心을 절절하게 표현했다. 이를 계기로 환경과 인적 교유에도 일정한 변화가 감지되었고, 학문의 실천성[用]에 대해서도 깊게 고민하는 김만영의 모습이 포착되었다. 김만영의 ≪經世通典≫도 이러한 맥락에서 저술된 것으로 이해했다. 여기에는 국가 운영에 대한 김만영의 여러 주장들이 소상하게 수록되어 있다. 물론 그의 경세론이 정책으로써 입안되지는 못했지만, ‘17세기 湖南’이라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김만영’이라는 인간이 경험한 사회ㆍ학문적 변화가 농축된 저술이라는 점에서 일정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the life and Administration theory of Kim Man-young(1624-1671), a field intellectual in Naju in the 17th century, were examined. Kim Man-young's life is in line with Joseon's political and social upheavals, including the aftermath of the Imjin-War(壬辰倭亂, 1592) and the Injo Rebellion(仁祖反正, 1623), Jeongmyo-Horan(丁卯胡亂, 1627), Byeongja-Horan(丙子胡亂, 1636), and Kihae Ye-song(己亥禮訟, 1659). He formed a close relationship with Honam's noble families, such as Park-soon ga(朴淳家), Na-sachim ga(羅士忱家), Go-gyeongmyeong ga(高敬命家), Lee-hubaek ga(李後白家), and formed a marriage and masters-pupils relationship through it. In particular, Won Doo-pyo(元斗杓), Min Jeong-jung(閔鼎重), and Nam Gu-man(南九萬), who have been to Honam as observers and envoys were representative figures who observed Kim Man-young's academic achievements, and Yoon Jeung(尹拯) also evaluated him as a representative shadow intellectual of Honam. The praise of the vassals led to Kim Man-young being given office. Kim Man-young expressed his loyalty to the king and the court who recognized him through poetry(感天恩). As a result, a certain change in environment and social intercourse was detected. This change was to consider the practice of the academic career. It was understood that Kim Man-young's ≪Gyeongse-Tongjeon≫(經世通典) was also written in this context. It contains in detail Kim Man-young's various arguments for state management. Although his theory of economic affairs did not have a policy effect, it could be given a certain meaning in that it contains the time and space of “17th century Honam” and the human change of “Kim Man-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