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주 양육자에 의해 지속적인 학대 피해를 경험한 여성의 자발적 그림은 무엇을 이야기하는지 깊이 있게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다. 학대 피해 여성의 자발적 그림이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회적 구조 속에서 살펴보기 위해 생애사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목적 표집을 통해 최종 1인을 선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9년 9월부터 ~ 2021년 4월까지이며 참여자의 자발적 그림, 심층 면담 자료, 저널, 전자우편과 문자 메시지로 받은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대 피해 여성으로 살아내는 여정에서 만난 그림은 ‘조각난 기억과 불안정한 상처들의 조우’, ‘내 편은 아무도 없는 억울함’, ‘몸이 기억하는 무력감’, ‘트라우마 속에서 발견한 혼돈’, ‘서툴지만 나를 위로하며’였으며, 그림의 의미는 ‘실체가 있어도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는 이들에게’, ‘신의 침묵과 인간의 탐심’, ‘무심코 뱉은 말(言)의 무게와 온도’, ‘기억에서 가슴, 창작으로 이어지는 초상(肖像)’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첫째, 한 사람이 감당하기 힘든 경험을 함께 공유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예술로 승화된 학대 경험이 사회에 보내는 메시지. 마지막으로, 자발적 그림은 한 사람의 삶을 온전히 녹여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deep examining what the voluntary pictures of women who experienced continuous abuse by their primary caregivers.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examine the message expressed by the voluntary paintings of abused women in the social structure. One final participant was selected through objective sampling.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September 2019 to April 2021. The participants's voluntary drawings, in-depth interview data, journals, and data received by e-mail and text message were us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paintings from the victim of abuse were ‘The encounter of fragmented memories and unstable scars', 'Regret with no one on my side', 'Helplessness remembered by the body', 'Chaos found in trauma', and 'It's clumsy, but it comforts me', The meaning of the painting was 'To those who cannot see or hear even though they exist', ‘God's silence and human greed', 'The weight and temperature of unintentionally spoken words', and 'From memory, the chest and portrait leading to creation’ were derived. Based on these contents, first, it became an opportunity to share experiences that the participant could not handle. Second, A message to society from the experience of abuse sublimated into art. Lastly, spontaneous paintings completely dissolved her lif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