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지자체별 청년기본조례가 제정됨에 따라 청년시설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초기 고용분야에 특화되었던 청년공간은 청년센터가 설립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그 범위가 확대 되었으나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미지수이다. 이에 이용자와 종사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청년센터의 역할요인을 탐색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목적: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청년센터의 운영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년센터의 이용자(당사자)인 청년과 시설 종사자의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청년센터에 대한 역할을 다각도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청년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청년 10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연구법을 통해 청년센터 역할에 대한 아이디어를 생산하고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는 작업을 거쳤다. 이후 도출된 진술문의 중요도를 평정하기 위해 시설 이용 경험이 있는 청년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는 한편, 시설 종사자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앞서 분류된 역할요인을 바탕으로 종사자 FGI를 진행하였다. 결과: 청년센터를 이용한 청년들이 인식하는 청년센터의 역할요인은 55개 진술문으로 확정되었으며, 해당 내용을 연구 참여자들이 분류한 결과, 2개의 차원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군집은 ‘공간의 지향점’, ‘다양한 콘텐츠 확보’, ‘지역기반 청년지원체계’, ‘청년센터 홍보강화’로 구성되었다. 이후 청년센터 종사자 5명을 대상으로 진술문에 대한 인식확인, 청년센터 평가, 개선방안 등을 내용으로 하는 FGI를 수행한 결과 종사자들은 홍보인력의 확충, 프로그램 다양화, 청년센터의 공간적 의미 등의 내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사점: 본 연구는 청년센터를 이용하는 청년의 인식을 통해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또한 시설 종사자로 하여금 청년들이 센터에 대한 인식과 종사자 견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청년의 인식을 확인하는데 있어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With the enactment of the basic ordinance for youth by local governments, youth spaces began to be cre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Youth Center, the youth space, which was initially specialized in the field of employment, has expanded its scope to various fields.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it plays a sufficient rol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llect opinions from users and worker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ole of the youth center and establish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ssential data regarding the direction of youth center management in response to this need. To achieve this, we aim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role of the youth center from various perspectives, primarily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young people and the center workers who are the users of these facilities. Methodology: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selected 10 young people who use youth centers to conduct a Concept Mapping method, generating ideas about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role of youth centers and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ir similarity. Subsequently, in order to survey the importance of statements afterwards, a survey was conducted on 106 young people with experience in utilizing facilities. Additionally, 5 center workers were selected for a focus group interview(FGI) as research participants. Findings: As a result, 55 statements were confirmed and the content was classifi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into two dimensions and four clusters. Upon closer examination, the clusters were composed of “orientation of space,” “diverse content acquisition,” “regional-based youth support system,” and “enhanced promotion of youth center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n FGI was conductd with five youth center workers as subjects to confirm their perceptions of the statements, evaluate the youth center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As a result, the workers confirmed the need for more promotional staff, diversified programs, and a spatial meaning of youth centers. Conclusions: This study sought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the perception of young people using youth centers. It is also meaningful that facility workers were able to confirm young people’s perceptions and workers’ views of the center, and finally, they used conceptual research methods to confirm young people’s percep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