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최근 변화하고 있는 혼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한국사회에서의 혼인 관계의 의미에 대한 논의의 부재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한국사회에서 결혼의 의미와 부부관계에서의 역할과 위치성이 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년 6개월 동안 지상파와 종합편성 채널에서 방영되었던 부부중심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총 네 프로그램에 대해 서사구조와 포맷, 전반적인 재현 양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에서 재현하고 있는 부부관계에서의 서사와 성역할 담론은 크게 총 세 가지 양상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여성에게 요구되는 아내로서의 규범으로 이는 부부관계에서 여성의 위치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며 이러한 역할의 수행이 성별에 기초한 고정관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두 번째는 부부관계에서도 성 고정관념을 바탕으로 하는 외모에 대한 평가, 소위 사회적으로 ‘여성성’, ‘남성성’으로 분류되는 요인들에 대한 강조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과 남성에게 ‘전통적으로’ 기대되었던 역할이 전환되어 남성이 아내의 일로 여겨졌던 일을 수행하는 등의 행위가 나타났을 때 이는 예외적이고 특별한 상황으로 평가되며 다시 기존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재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를 중심으로 한 예능 프로그램들은 가부장적 성역할 규범에 기반한 부부의 관계와 역할을 이상적인 것으로 미화하면서 한편으로는 그 가운데 발생하는 갈등들은 구조적이고 사회문화적인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요인에서 기인한 것으로 재현한다. 이러한 재현 양상은 부부간 성차별적 역할 수행에 관한 논의를 공론화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문제로 환원시키며 현재 한국의 부부관계에서 존재하는 성역할 규범에 관한 문제들을 은폐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Focusing on recent change in social perception of marriage and the lack of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marriage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eaning of marriage and the role of marital relationships are reproduced in reality programs representing married couples. Four couple-centered reality programs over the past year have been analyzed for narrative structure, format, and overall represent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arrative and gender role discourse in marital relationships represented in 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 could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aspects. The first is the norm called for as a housewife to women,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position of women in marital relationships, based on gender-based stereotyp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valuation of appearance based on gender stereotypes and the emphasis on factors classified as so-called socially 'femininity' and 'maleness' were also made in marital relationships. Finally, when the roles traditionally expected of women and men were switched and men performed what was considered their wife's job, it was evaluated as an exceptional and special situation and reaffirmed the existing gender role stereotype. Reality programs centered on couples glamorize the couple's relationship and role based on patriarchal gender role norms as ideal, while the conflicts arising among them are represented as not structural and socio-cultural, but as due to personal factors. This pattern of reproduction does not publicize discussions on the performance of gender-discriminatory roles between couples, but rather returns them to individual problems and contributes to concealing the problems of gender role norms that currently exist in Korean marital relations.